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들어가며
1. 왜 친환경 농업이 화두인가?
2. 우리나라 토양과 수자원 환경의 변화
3. 친환경 농업에서 토양학은 어떤 위치인가?
4. 농업 생태계의 지속성과 토양의 질 평가의 문제
5. 토양학의 본분과 사회적 책임
6. 결론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환경과 인간, 그리고 농업-왜 친환경 농업을 해야하는가 \ulcorner
한국농업기계학회 심포지엄
1999 .01
농업에서도 「인터넷」을 활용하자
시설원예연구
1999 .12
농업과 환경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1993 .10
농업의 역활과 환경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2008 .09
농업 전문가 시스템
생물환경조절학회지
1994 .12
서울시 도시농업 육성 5개년 계획 연구로 살펴본 한국 도시농업의 방향성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2019 .05
우리 농업 어디로 가야하나?
농약정보
2003 .01
깨어져야 농업이 산다
농약정보
2003 .01
2000년대의 농업
월간양계
1980 .01
에칠렌과 농업
농약과식물보호
1982 .01
제12회 농업인의 날
오리마을
2007 .01
우리나라 농업과 비료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2008 .09
친환경 농업의 현재와 미래 : 경종농업을 중심으로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2006 .10
The Role of Indigenous Knowledge and Agricultural Education in Agriculture Production System: Implications to Sustainable Agriculture and Environment Education
한국농촌지도학회지
1998 .01
새로운 식품농업교육의 구축
식품기술
2011 .01
도시농업 연구 및 실천방안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2010 .05
친환경농업 육성과 농산물 안전성 확보대책
물만 먹고 자라요
2005 .01
농업기술: 농업동향
농업기술회보 : 21세기 우리 농업ㆍ농촌ㆍ농민을 선도하는 정보지
2011 .01
Agriculture in China
한국토양비료학회지
1984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