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Ⅰ. 서설
Ⅱ. 사인의 공용수용에 대한 근거 법률의 현황
Ⅲ. 사인의 공용수용의 정당성에 대한 검토
Ⅳ. 사인의 공용수용과 공ㆍ사익의 조화
Ⅴ. 결어
참고문헌
〈Abstract〉
헌법재판소 2011. 11. 24. 선고 2010헌가95,96(병합) 전원재판부
가. 이 사건 법률조항이 도시환경정비사업의 시행자로 하여금 도시환경정비사업에 동의하지 않는 자를 상대로 수용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한 것은 도시공간의 효율적인 이용을 통하여 쾌적하고도 유용한 도시환경을 조성하고 궁극적으로 도시의 건전한 발전과 공공복리의 증진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수용의 주체가 사인이라 하여 공공필요에 대한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09. 9. 24. 선고 2007헌바114 전원재판부
가. 헌법 제23조 제3항은 정당한 보상을 전제로 하여 재산권의 수용 등에 관한 가능성을 규정하고 있지만, 재산권 수용의 주체를 한정하지 않고 있다. 위 헌법조항의 핵심은 당해 수용이 공공필요에 부합하는가, 정당한 보상이 지급되고 있는가 여부 등에 있는 것이지, 그 수용의 주체가 국가인지 민간기업인지 여부에 달려 있다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13. 2. 28. 선고 2011헌바250 전원재판부
가. 이 사건 법률조항은 관광 여건을 조성하고 관광자원을 개발하며 관광산업을 육성하여 관광진흥에 이바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관광단지의 조성은 국내관광의 활성화를 통한 내수 진작 및 외국관광객 유치를 위한 기반으로 활용될 수 있고,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위한 수단으로서 뿐 아니라 국토의 효율적 이용이란 측면에서도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나아가 관광단지의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14. 10. 30. 선고 2011헌바129,172(병합) 전원재판부
가. 헌법 제23조 제3항에서 규정하고 있는 `공공필요’는 “국민의 재산권을 그 의사에 반하여 강제적으로라도 취득해야 할 공익적 필요성”으로서, `공공필요’의 개념은 `공익성’과 `필요성’이라는 요소로 구성되어 있는바, `공익성’의 정도를 판단함에 있어서는 공용수용을 허용하고 있는 개별법의 입법목적, 사업내용, 사업이 입법목적에 이바지 하는 정도는 물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1. 1. 27. 선고 2009두1051 판결
[1] 사업인정이란 공익사업을 토지 등을 수용 또는 사용할 사업으로 결정하는 것으로서 공익사업의 시행자에게 그 후 일정한 절차를 거칠 것을 조건으로 일정한 내용의 수용권을 설정하여 주는 형성행위이므로, 해당 사업이 외형상 토지 등을 수용 또는 사용할 수 있는 사업에 해당한다고 하더라도 사업인정기관으로서는 그 사업이 공용수용을 할 만한 공익성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5. 8. 19. 선고 2004다2809 판결
[1] 피수용자 등이 기업자에 대하여 부담하는 수용대상 토지의 인도의무에 관한 구 토지수용법(2002. 2. 4. 법률 제6656호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부칙 제2조로 폐지) 제63조, 제64조, 제77조 규정에서의 `인도`에는 명도도 포함되는 것으로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11. 6. 30. 선고 2008헌바166,2011헌바35(병합) 전원재판부
가. 기반시설의 종류로서 체육시설을 규정한 이 사건 정의조항은 이 사건 수용조항과 결합한 전반적인 규범체계 속에서 도시계획시설사업의 시행을 위해 수용권이 행사될 수 있는 대상의 범위를 확정하는 역할을 하므로 재산권 제한과 밀접하게 관련된 조항이라 할 것이다. 그런데 특히 재산권 수용에 있어 요구되는 공공필요성과 관련하여 살펴본다면 체육시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1995. 2. 23. 선고 92헌바14 전원재판부
가. 징발매매는 피징발자가 국방부장관의 매수통지에 응하지 않더라도 결국 국방부장관의 매수결정에 의하여 일방적으로 성립되게 되어 있으므로, 징발매매는 매매라는 법형식과는 관계없이 실질적으로 헌법 제23조 제3항에 의한 공용수용에 해당한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위 특별조치법 제20조 제1항에 의한 환매권도 헌법 제23조 제1항이 보장하는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재개발사업에 따른 수용과 손실보상
건설법연구
2019 .10
토지보상법상 공익성 협의제도에 관한 소고
건설법연구
2022 .09
일본의 토지수용법상 손실보상제도 연구
토지공법연구
2024 .08
재개발사업의 수용재결과 지연가산금
건설법연구
2020 .11
토지수용에 관한 법적 쟁점의 해결방안
부동산법학
2023 .03
공용수용절차에서 지장물인 건축물의 보상과 소유권 취득
행정법연구
2021 .08
공용수용에 있어 공익성 검증 제고를 위한 제언: 권력분립의 원칙에 기반하여
법경제학연구
2022 .04
수용 및 보상 제도의 절차적 정당성: 평가와 제고 방안
법경제학연구
2022 .04
토지수용과 재산권의 보호문제
토지법학
2021 .06
중국 토지수용제도의 현황과 개선방안
민사법의 이론과 실무
2018 .01
잔여지 감가보상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미국 잔여지 보상제도와의 비교
감정평가학논집
2017 .12
재개발 사업의 소유권취득방식과 사용수익정지제도 - 대법원 2021. 6. 30. 선고 2019다207813 판결의 검토 -
건설법연구
2022 .09
[객원기자가 간다 ④ : 공유재산 실무 8] 토지보상법으로 취득한 토지 환매 가능한지 여부
지방정부
2022 .09
미국의 연방 토지수용법체계와 연방정부의 실무
토지공법연구
2024 .11
손실보상액 산정절차와 보상액 결정기준에 관한 연구
법경제학연구
2022 .04
토지보상법상 재결의 신청권에 관한 고찰: 지방토지수용위원회의 재결신청을 기본으로
한국지방자치연구
2022 .08
생활보상에 관한 재결신청청구권의 존부와 개선방안
건설법연구
2020 .03
왜 다시 토지정책인가
국토
2022 .06
공익사업에 있어서 수용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부동산경영
2019 .01
공용사용토지의 수용 재결신청 거부처분에 대한 불복방법대법원 2015. 4. 9. 선고 2014두46669 판결[토지수용재결신청거부처분취소]
인권과 정의
2016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