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DBpia Top 0.5%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들어가는 말
1. 왜 생체모방을 하는가
2. 어떻게 생체모방을 해야 하는가
3. 무엇을 모방할 것인가
맺음말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생체모방의 근본원리에 비춰본 4차 산업혁명 시대 생태문학의 의의
문학과환경
2018 .06
[특집: 테크놀로지와 주거의 인문학] 현대건축과 소통의 인터페이스 -디지털스킨과 감각적⋅미적 ‘살’ 공동체-
인문과학
2015 .01
생체 모방 기술이 응용된 뉴미디어아트 연구
인문연구
2024 .06
삶의 기술
월간에세이
2020 .01
일본 퇴직기술자에 의한 기술이전에 관한 연구
일본연구
2021 .01
기술은 나아가지만 어디로 가는지 모른다 : 인공유전체 합성기술의 유래와 미래
지식의 지평
2016 .12
인공지능 시대의 과학기술 거버넌스
철학사상
2018 .05
메시지의 기술
유레카
2019 .05
[여는 글] ‘사람을 향하는 기술’
월간 옥이네
2024 .05
인공지능, 기술권, 그리고 디지털 충분성
문화과학
2024 .09
창의적 경제 개념에서의 산업기술박물관의 설립 근거와 역할에 관한 연구: 산업사의 기억 보존과 기술혁신의 기반 조성
박물관학보
2016 .01
기술혁신과 사회적 갈등
월간에세이
2023 .04
생태철학적 시야에서 본 장자 학파의 기술관
중국학논총
2022 .03
[기획의 변] 의료와 기술
의사학
2023 .04
데싸우어의 기술 개념
대동철학
2021 .01
기술 느낌 언어
현상학과 현대철학
2021 .06
과학기술, 인간과 미래
지식의 지평
2020 .10
매체와 놀이 - 발터 벤야민의 매체철학을 중심으로 -
철학연구
2022 .08
‘제4차 산업혁명’과 과학기술
지식의 지평
2017 .11
장애인과 디지털 기술: 정보통신기술 광고의 장애인 재현을 중심으로
생명연구
2021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