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한성주 (강원대학교)
저널정보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연구 인문과학연구 제56집
발행연도
2018.3
수록면
215 - 234 (20page)
DOI
10.33252/sih.2018.03.56.215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고는 근세 한·중·일의 貂皮 무역에 대한 검토를 시론적으로 제기해 보았다. 특히 조선을 중심으로 조선과 중국, 조선과 여진, 조선과 일본으로 구분하여 초피 교역의 양상과 변화, 특징과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선 조선 초기부터 明의 사신들은 공공연히 초피로 만든 갖옷[貂裘]과 초피 수백 장을 요구하기도 하였으며, 초피 교역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그리고 명에 파견된 조선의 使行들에 의해서도 초피의 밀무역이 이루어졌다. 한편 조선을 중심으로 한 중국과의 초피 교역은 명·청교체기를 거치면서 많은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다. 즉 초피의 중심 산지였던 만주 지역의 여진족이 淸을 건국하고 중국을 장악하게 되면서 조선의 사신들은 중국에서 唐貂皮라 불리는 청의 초피를 무역해 왔다. 결국 중국산 당초피가 초피 무역을 주도하는 양상으로 변화하였다.
조선 전기 국내·외적인 초피 수요의 급증으로 조선은 초피를 여진인들로부터 충당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초피는 16세기 여진과의 사무역 발달을 크게 촉진하였다. 여진과의 초피 무역을 주도한 사람은 조선의 함경도 6진 지역의 변장들과 수령들, 상인들이었다. 조선과 여진과의 초피 무역은 여진 지역의 경제적 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다. 초피와 바꾼 농우, 말, 철물 등은 여진의 농업발전에 영향을 주었고, 여진인들의 사회·경제적 성장은 만주 지역 전체로 파급되면서 전근대 동아시아의 변혁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한편 조선은 일본에 직물류와 약재류, 피물류 등을 주었는데, 피물류에는 호피·표피·초피 등이 있었으며, 초피는 주로 예물로써 일본에 전해졌다. 그런데 조선에서 일본에 건너간 초피는 여진 지역에서 생산된 초피가 대부분이었다. 조선 후기에도 초피는 지속적으로 전해졌다. 초피는 조선을 통해 수입하는 것을 거의 전적으로 의존해 왔다. 특히 일본에서는 조선에 호피·표피 등도 요청했지만 가장 자주 요구한 皮物은 초피였다. 또한 『倭人求請謄錄』에는 당초피가 기록되어 있는데, 당초피는 바로 중국산 초피를 말한다. 결국 북방 산물인 중국의 만주산 초피가 조선을 거쳐 일본으로까지 전해졌을 가능성이 있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조선과 중국의 초피 교역 양상과 변화
3. 조선과 여진과의 초피 교역 전개와 영향
4. 조선과 일본과의 초피 교역 현황과 특징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