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목차]
[요약]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장애인 고용사업 평가 지표: 미국 사례]
1. 미국 장애위원회(National Council on Disability: NCD): National Disability Status and Program Performance Indicators
2. 버지니아 연방 대학교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Quality Indicators for Competitive Employment Outcomes
3. 미국 노동부 산하 장애인 고용 정책국: Office of Disability Employment Policy Assessment
4. 미국 워싱턴 주 보건복지부 (Washington State Department of Social and Health Services): Developmental Disabilities Administration (DDA) Quality Assurance Report
5. 미국 National Core Indicators (NCI): Employment Trends for Adults with ID/DD and Suggestions for Policy Development
[Ⅲ. 장애인 고용사업 평가 지표: 호주 사례]
1. 호주 사회서비스국(Department of Social Services): Disability Employment Services(DES) Performance Framework
[Ⅳ. 장애인 고용사업 평가 지표: 아일랜드 사례]
1. 아일랜드 보건부(Minister of Health) 산하 Health Service Executives 내 Social Care Division: Key Performance Indicator Meta data for Disability Services
[Ⅳ. 국내 장애인 관련 사업 평가지표 사례]
1. 보건복지부 장애인 사업관련 평가지표
2. 근로복지공단 장애인 사업관련 평가지표
3. 국민건강보험공단 장애인 사업관련 평가지표
4. 국민연금공단 장애인 사업관련 평가지표
5. 산업인력관리공단 장애인 사업관련 평가지표
6. 주요 특징 및 시사점
[Ⅵ. 해외 평가지표 사례를 통한 주요 시사점]
[참고 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고용관리지원 사업평가
연구자료
2016 .07
[정책연구 2019-01] 공단 장애인 고용사업평가 - 장애인 고용환경 개선 융자·지원 사업 등 4개 사업을 중심으로
연구자료
2020 .04
장애인 고용관리지원 사업 평가 : 근로지원인 지원 사업과 고용관리비용 지원 사업을 중심으로
연구자료
2018 .04
장애인고용연구사업 평가 및 개선방향 연구
위탁과제보고서
2017 .11
빅데이터를 이용한 고용지표 개발
[BOK] 국민계정리뷰
2016 .04
[정책연구 2018-05] 장애인 고용 환경 개선 융자・지원사업 평가
연구자료
2019 .07
장애인 고용 사업주 지원제도 비교연구 - 한국과 독일을 중심으로 -
기본과제보고서
2021 .12
취업 적령기 장애인 고용 서비스 실태 보고
수시과제보고서
2021 .01
장애인 고용법제에 관한 소고(小考) : 장애인 고용의무제와 차별금지제를 중심으로
법학논총
2015 .07
느린 학습자 고용지원 필요성에 대하여
세미나·토론회
2023 .11
[정책연구 2022-08] 지원고용서비스 과제와 향후 발전방향 연구
연구자료
2023 .03
국가공무원 장애인 고용 증진 방안 : 장애인고용부담금 부과 검토를 중심으로
연구자료
2016 .07
제 외국의 장애인 고용서비스 기관 검토 : 공단과 유사 기능 사례중심
연구자료
2017 .05
[조사통계연구 2022-02] 장애인고용계획 및 실시상황보고 자료 시계열 분석
연구자료
2023 .03
발달장애인 고용안정 지원방안
기본과제보고서
2021 .12
[수시 15-13] 고용관리지원 사업평가
수시과제보고서
2016 .02
장애인 고용창출 · 고용유지 안정 방안
연구자료
2015 .05
장애인 고용창출ㆍ고용유지 안정 방안
연구자료
2015 .05
공단 장애인 고용사업평가 - 장애인 고용환경 개선 융자·지원 사업 등 4개 사업을 중심으로
기본과제보고서
2019 .12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서비스 연계 실태 및 개선방안
위탁과제보고서
2016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