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천시우시우 (동국대학교) 김성주 (동국대학교)
저널정보
동악어문학회 동악어문학 동악어문학 제78집
발행연도
2019.6
수록면
119 - 150 (32page)
DOI
10.25150/dongak.2019..78.005

이용수

DBpia Top 10%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최근 2년간 이용수 순으로 정렬했을 때
해당 논문이 위치하는 상위 비율을 의미합니다.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4차 산업혁명과 5G 시대가 도래하면서 인공지능(AI) 음성 인식을 적용한 발음 학습 애플리케이션, 언어 학습용 디지털 교재, 교사-학습자 간 상호작용이 가능한 실감형 언어 교실, 언어 학습용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등의 신기술과 언어교육의 연계를 고민해야 할 시기이다. 본고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외국어 말하기 또는 어휘 학습 가상현실(VR) 애플리케이션을 분석하여 장단점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보다 효율적인 한국어 학습 애플리케이션 개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Mondly VR for Daydream〉, 〈House of Languages〉, 〈BeFearless〉 등을 분석하여 각 애플리케이션을 ‘콘텐츠 내용’, ‘구현 방식’, ‘기타 방면’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장점과 단점을 파악하여 나아가서 새로운 가상현실 기반의 언어 학습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가상현실 기술은 외국어 교육에 적용된 지 오래되지 않았으며 기술적인 면에 있어서도 한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일부 애플리케이션에서 콘텐츠 내용이나 구현방식에 있어 여러 가지 문제점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상현실 애플리케이션은 종이 교재 및 디지털 교재와 융합해서, 콘텐츠는 종이 교재 내용을 기반으로 하며 구현은 디지털 교재의 방식을 모델로 하면서 이들은 서로 보완해서 새로운 언어 교육 도구가 되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이들 세 가지 교육 도구가 융합하면 종이 교재의 시공간의 한계를 극복하고 내용의 풍부성 및 전체성의 장점을 발휘할 수 있으며, 디지털 교재의 모델을 이용할 수 있고, 가상현실의 몰입감을 바탕으로 학습자의 효율적인 언어 학습의 도구가 될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이다.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며
2. 이론적 배경
3. 언어 가상현실 콘텐츠 애플리케이션 분석
4. 언어 가상현실 콘텐츠 애플리케이션 개선 방향
Abstract
참고문헌

참고문헌 (25)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