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투자 의사결정은 비용과 효익을 대비하여 이루어진다. IT투자의사결정 관련된 많은 연구가 효익 분석의 어려움을 인지하고, 어떻게 효익을 식별하고 계량화 할 것인가 하는 문제를 다루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이런 기존 연구와 다르게 비용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즉 기존의 전통적인 원가계산시스템을 이용해서 산정한 IT투자 비용은 크게 왜곡될 수 있으므로 좀 더 정밀한 방법에 의한 비용산정이 이루어져야 함을 지적한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활동원가(ABC) 방법의 적용을 제안하고,여기에 ABM, VCA, PRM, CSF 등의 방법을 연계하여, IT투자 분석과 평가에서 IT투자가 미치는 영향이 기업의 가치사슬에서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하는 연관관계를 면밀하게 분석하는 메카니즘을 제안한다. 이런 메카니즘을 통해서 IT투자의사결정에서의 모호성을 크게 배제할 수 있을 것이다.
IT investment analysis usually proceeds by comparing benefits and costs of an IT investment. Most studies related to IT investment decision making typically focus on identifying types of benefits and developing ways of quantifying such benefits. The study, on the contrary, raises the question whether correct and valid cost estimation be made for IT investment decision making. Traditional cost system is argued not a valid way of estimating correct cost, henceforth we propose using activity-based cost method for the estimation of IT investment cost. Furthermore. we relate ABC with other management methods such as VCA, PRM, CSF, ABM to show the impact of IT investment on value chain. This integrated mechanism provides line-of-sight of IT investment, and thus leads to eliminate ambiguity embedded in IT investment decision ma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