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이주민 (조선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제31권 제2호
발행연도
2020.5
수록면
229 - 239 (11page)
DOI
10.7856/kjcls.2020.31.2.229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study examined the chemical profile and antioxidant effects of Juniperus rigida Sieb. et. Zucc. (JS) fruit extract. The carbohydrate content was high, and leucine, lysine, and histidine were the major total essential amino acid components in the JS fruit extract. The major organic acids were malic acid, citric acid, and tartaric acid. Saturated fatty acids (stearic acid, capric acid, heptadecanoic acid, and tricosanoic acid) and monounsaturated fatty acids (cis-11-eicosenoic acid and palmitoleic acid) were detected in the JS fruit extract. The order of mineral content was Ca>K>Mg.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84.22 mg TAE/g and 136.24 mg RE/g,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JS fruit extract (0.05, 0.1, 0.2 mg/mL) had a growth inhibitory effect on MCF-7 and HCC38 breast cancer cells; the effect was greater in the MCF-7 cell line than in the HCC38 cell line.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JS fruit extracts play a major role in the antioxidant and anti-cancer effects in breast cancer cells.

목차

ABSTRACT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고찰
IV. 요약 및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24)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590-000658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