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졸업 후 사회로 진출할 때 취업이 잘되지 않는 문제를 대학 차원에서 해결해 보고자 하는 데 있다. 대학생들이 졸업 전·후 다양한 취업프로그램을 경험하여 기업이 요구하는 취업역량을 쌓을 수 있도록 하 는 데 있는 것이다. 따라서 대학 취업프로그램 참여학생의 만족도를 조사·분석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연구에 활용된 자료는 광주광역시에 있는 A대학의 2018년, 2019년, 2020년 취업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 만족도 조사자료와 운영실무자, 참여학생 FGI 자료이다.
연도별 취업프로그램 개설 현황과 참여학생 현황은 2018년도에는 취업프로그램이 26개 4,608명, 단계별로는 취 업진로탐색 12개 2,348명, 취업역량강화 8개 1,476명, 실전취업 6개 784명이 참여하였다. 2019년도는 취업프로그램 이 24개 3,895명, 단계별로는 취업진로탐색 3개 456명, 취업역량강화 12개 1,276명, 실전취업 9개 2,160명이 참여하 였다. 2020년도는 취업프로그램이 42개 9,752명, 단계별로는 취업진로탐색 10개 2,010명, 취업역량강화 22개 3,412 명, 실전취업 10개 4,330명이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연도별 취업프로그램 참여학생 만족도는 2018년 4.59점, 2019년 4.59점, 2020년 4.56점이다. 단계별로 는 취업진로탐색 만족도는 2018년 4.41점, 2019년 4.47점, 2020년 4.57점이다. 취업역량강화 만족도는 2018년 4.60 점, 2019년 4.58점, 2020년 4.54점이다. 실전취업 만족도는 2018년 4.75점, 2019년 4.70점, 2020년 4.57점이다.
연구의 의의는 첫째, 대학 취업프로그램을 3년(2018년~2020년) 동안 추적 조사·분석한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3년 동안 추적 조사·분석한 연구자료는 취업프로그램의 수, 참여학생 수, 만족도, 운영실무자 및 참여학생 그룹 의 의견 등이 매년 어떻게 변화됐는지를 비교할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둘째, 대학 취업프로그램 3년 동안 추적 조 사·분석한 자료는 매년 취업프로그램의 환류에 활용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셋째, 선행연구의 신혜숙, 남수 경, 민병철(2014)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대학 취업프로그램 구성요소를 취업단계별로 유형화하여 구조적 체계를 확 립하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대학 취업프로그램 조사·분석을 통해 확인한 다양한 변화를 반영해서 취업프로그램을 발전시키면 학생들의 만족도가 올라갈 것이고, 이는 취업역량 강화를 시사하고 있다. 둘째, 대학 취업프로그램 환 류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학생들이 요구하는 프로그램과 시대변화에서 요구하는 프로그램을 적시에 개설하는 것 이고, 이는 취업역량 강화를 시사하고 있다. 셋째, 대학 취업프로그램 구성요소를 취업단계별로 유형화하여 구조적 체계를 확립하는 것 또한 취업역량 강화를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university employment program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are the student satisfaction survey data and FGI data of the operating staff and participating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2018, 2019, and 2020 employment programs at University A in Gwangju.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employment program by year was 4.59 points in 2018, 4.59 points in 2019, and 4.56 points in 2020. By stage, the job search satisfaction score was 4.41 points in 2018, 4.47 points in 2019, and 4.57 points in 2020. Satisfaction with job competency enhancement was 4.60 points in 2018, 4.58 points in 2019, and 4.54 points in 2020. The actual job satisfaction score was 4.75 points in 2018, 4.70 points in 2019, and 4.57 points in 2020.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first, that the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followed up and analyzed the university employment program for three years (2018-2020). The research data that was followed up and ana- lyzed for three years is a good data to compare how the number of employment programs, the number of partic- ipating students, satisfaction, and the opinions of operating practitioners and participating student groups change every year. Second, the data analyzed and tracked for 3 years of the university employment program is used for the feedback of the employment program every year, and the study is meaningful. Third, as suggested by Shin Hye-sook, Nam Su-kyung, and Min Byeong-cheol (2014) of previous studies, the study has significance in es- tablishing a structural system by categorizing college employment program components by employment st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