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장철웅, Chulwoong Jahng (한국외국어대학교,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지도교수
권태형.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외국어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0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역동적 경쟁우위에 대한 개방형 혁신활동의 영향: 교란적 혁신 환경에서

기술과 비즈니스 모델이 상호 얽히고 있는 융복합 산업 환경에서 기술 혁신 또는 경영 혁신이 기업 및 조직의 중대한 관심사가 된지 이미 오래되었고, 많은 조직이 혁신을 위한 투자를 하여 왔음에도 불구하고 차별화된 경쟁력 및 경쟁우위를 가지지 못하고 새로운 흐름에 의해 도태되는 사례가 많이 등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업이 차별화된 역량 및 경쟁우위를 확보하고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전략을 도출하는 것을 기본 목적으로 하였다. 개방형 혁신의 각종 활동을 정리하여 탐색활동, 협력활동, 기초역량강화, 플랫폼구축, 프로세스전환 및 연구개발투자를 기본적인 독립변수로 정의하였다. 개방형 혁신 제휴로 일컬어지는 국제적 기술 제휴와 개방형 혁신 활동과 생태계와의 관계에서 등장하는 플랫폼 리더십은 통제변수로 채택하였고 교란적 혁신 이론으로부터 6가지 침해 유형을 4가지 유형으로 조정하여 통제변수로 사용하였다. 기업의 차별화된 경쟁력 및 경쟁우위를 역동적 환경에서 설명하기 위하여 역동적 경쟁우위라는 개념을 제시하였고 해당 변수로는 민첩성을 매개변수로, 경쟁우위와 재무적 기여도를 독립변수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도출된 연구모델11개의 개방형 혁신 사례를 분석하여 개방형 혁신 활동들을 도출하고 분리하여 변수군을 정리하고 변수들에 대한 측정방법을 파악하였다.
연구의 결과로서 탐색활동, 기초역량확보, 플랫폼구축 및 프로세스전환이 기업의 민첩성을 제고하고 민첩성을 경유하여 경쟁우위와 재무적 성과에 기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기초역량확보, 플랫폼구축 및 프로세스전환은 민첩성을 경유하지 않은 상태로도 경쟁우위 또는 재무적 기여도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플랫폼구축 리더십과 교란적 혁신의 4가지의 침해유형이 개방형 혁신활동으로부터 민첩성을 거쳐 경쟁우위와 재무적 기여도에 미치는 영향에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역동적인 융복합 환경에서 기업의 경쟁우위를 유지하기 위한 전략과 방법론을 도출하는 새로운 시도로서 기여할 것이다.

목차

제 1 장 서론 1
제 1 절 연구의 배경 1
제 2 절 연구의 목적 3
제 3 절 연구방법 및 구성 4
제 2 장 이론적 고찰 6
제 1 절 기존 연구 6
1. 개방형 혁신 이론 6
2. 플랫폼 연구 12
2.1 폐쇄적 혁신 플랫폼 14
2.2 개방형 혁신 플랫폼 16
3. 교란적 혁신 이론 18
4. 민첩성 연구 24
제 2 절 연구 모델 설계 30
1. 이론 기반의 모델 설계 30
2. 사례 중심의 모델 검정 33
2.1 탐색 및 협력 33
2.2 역량강화 및 프로세스전환 36
2.3 플랫폼구축 및 OIA 참여 37
2.4 사례로부터의 시사점 39
제 3 장 연구 모델 및 가설의 설정 40
제 1 절 연구 모델 정의 40
제 2 절 연구 가설 설정 43
제 3 절 연구 변수 정의 및 측정 항목 47
1. 연구 변수의 조작적 정의 47
2. 측정 항목 49
제 4 장 실증 분석 53
제 1 절 자료의 수집 및 분석 방법 53
1. 분석 단위 53
2. 분석 방법 54
제 2 절 데이터 사전 분석 54
1. 요인 분석 전제 조건 검토 54
2. 요인 분석을 통한 모델 재검토 56
3. 조정된 연구 가설 66
제 3 절 실증 연구 결과 69
1. 인구통계학적 분석 69
2. 측정의 신뢰성 분석 70
3. 측정모델의 타당성 검정 71
4.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73
5. 연구 모델의 적합도 평가 78
6. 가설 검정 83
6.1 가설검정 요약 85
6.2 가설 별 검정 결과 86
6.3 연구 변수의 영향력 크기 비교 96
제 4 절 추가 분석 99
1. 그룹 간 비교 99
1.1 개방형 혁신 제휴 참여 여부에 따른 집단 비교 분석 99
1.2 플랫폼 리더십 여부에 따른 집단 비교 분석 100
1.3 교란적 파괴의 4가지 침해유형에 따른 집단 비교 분석 101
2. 통제변수 분석 104
2.1 개방형 혁신 제휴(OIA) 참여 여부 104
2.2 플랫폼 리더십 유형 106
2.3 교란적 혁신의 4가지 침해 유형 108
3. 기타 110
제 5 장 토의 111
제 6 장 결론 115
제 1 절 연구 결과 115
제 2 절 연구의 의의 117
제 3 절 향후 과제 119
< 참고 문헌 > 123
< 첨부 1 > 설문조사표 134
국문요약 144
Abstract 146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