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김태현 (충북대학교, 충북대학교 대학원)

지도교수
안광국
발행연도
2021
저작권
충북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2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When first developed in the 1950s, the micropile method was used as one of the underpinning methods to suppress additional subsidence in the foundation of existing structures or to reinforce the bearing capacity. However, in recent years, this method has been used as a foundation method to solve geotechnical problems such as support for the foundation of a new structure, seismic resistance, slope stability, and shear keys of the pier foundation.
Also, since micropile can be constructed evenly in a narrow space, the frequency of use in the field is gradually increasing. In addition, as the use of microfiles gradually increased, various types of microfiles were developed, and a representative microfile developed recently is a triaxial micropile.
The triaxial micropile was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resistance to horizontal load or the seismic performance of the structure. This pile consists of small-diameter steel pipes tightly filled with grout are installed inclined in the three-axis direction (installation direction = 120 degrees), and the micro piles of each axis are fixed by pile caps made of steel plat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ile structure, a small steel pipe pile installed in an inclined three-axis structure was developed for more effective resistance to horizontal loads than the existing micro piles.
In order to effectively utilize the horizontal bearing capacity of the triaxial micropile, a study considering the ground conditions related to the horizontal bearing capacity characteristics of the pile, and the installation conditions of the pile (pile length ratio, installation angle, etc.) is required. Currently, the triaxial micropile is in the early stages of development, and research on it is insufficient, and only one type of installation method of the pile is applied when using it in the field.
In this stud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field load test and numerical analysi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horizontal behavior characteristics of the triaxial micropile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ground conditions and the installation conditions of the piles. First, the horizontal behavior characteristics of the actual triaxial micropile were evaluated through field horizontal load test, and further study on the actual pile was confirm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test results and the numerical analysis results simulating the field test process. Then, three-dimensional analysis was performed by changing the ground conditions and the installation conditions (length ratio, installation angle) of the pile, and the horizontal behavior characteristics and horizontal bearing capacity of the triaxial micropile were evaluat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analysis results comprehensively.

목차

Abstract 1
List of Figures 3
List of Tables 9
Ⅰ. 서 론 11
1.1 연구필요성 및 목적 11
1.2 연구동향 13
1.3 연구방법 및 범위 15
Ⅱ. 이론적 배경 18
2.1 마이크로파일 공법 18
2.1.1 일반 마이크로파일 18
2.1.2 삼축 마이크로파일 21
2.1.3 마이크로파일 관련 연구 23
2.2 마이크로파일의 분류 38
2.2.1 파일 거동에 따른 분류 38
2.2.2 그라우팅 방법에 따른 분류 41
2.3 마이크로파일의 지지력 46
2.4 마이크로파일의 수평지지력 49
Ⅲ. 현장수평재하시험 52
3.1 개요 52
3.2 마이크로파일의 수평재하시험 53
3.3 삼축 마이크로파일의 수평재하시험 57
3.3.1 현장 조건 57
3.3.2 삼축 마이크로파일의 설치 및 시험 58
3.3.3 수평재하시험의 하중-변위 관계그래프 60
Ⅳ. 수치해석기법 및 모델링 62
4.1 마이크로파일 공법 62
4.2 수치해석 기법 63
4.3 수치해석 모델 65
4.3.1 탄소성 모델 65
4.3.2 Mohr-Coulomb의 파괴규준 66
4.3.3 재료물성값 71
4.4 수치해석 모델링 75
4.4.1 현장재하시험 검증을 위한 모델링 76
4.4.2 지반 및 설치조건별 모델링 81
Ⅴ. 현장재하시험에 대한 수치해석적 검증 87
5.1 현장재하시험에 대한 거동분석 87
5.2 현장재하시험을 모사한 수치해석결과 91
VI. 수치해석을 통한 수평지지력 94
6.1 개요 94
6.2 삼축 마이크로파일의 수평거동특성 94
6.2.1 삼축 마이크로파일의 거동 94
6.2.2 각 축의 마이크로파일 수평변위 100
6.2.3 조건별 각 축의 마이크로파일 거동특성 112
6.3 삼축 마이크로파일의 수평지지력 115
6.3.1 삼축 마이크로파일의 수평하중-변위 117
6.3.2 조건별 삼축 마이크로파일의 수평지지력 125
VII. 지반과 설치조건에 따른 수평거동특성 127
7.1 개요 127
7.2 설치조건에 따른 수평지지력 128
7.2.1 파일 길이비에 따른 수평지지력 128
7.2.2 파일 설치각에 따른 수평지지력 131
7.2.3 지반조건별 수평지지력 134
7.3 설치조건에 따른 수평지지력비 137
7.3.1 파일 길이비에 따른 수평지지비 138
7.3.2 파일 설치각에 따른 수평지지비 142
7.3.3 지반조건별 수평지지력비 145
Ⅷ. 결 론 151
참고문헌 154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