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의 주부 50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전화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식품안전에 대하여 불안을 느끼는 사람이 65.4%, 불안을 느끼지 않는 사람이 34.6%로 식품안전성에 대해 불안을 느끼는 사람의 비율이 1.9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안전에 대한 불안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유아나 초등학생의 자녀여부, 학력, 채소류 구입장소, 브랜드, 보존료나 착색료 등의 식품첨가물, 원재료의 원산지 등이었다. 불안요인 중 잔류농약은 대상자의 96.0%가, 보존료나 착색료 등 식품 첨가물 95.7%, 환경호르몬 93.0%, 식중독균 등 유해미생물 91.7%, 유전자변형식품은 90.2%가 불안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로는 잔류농약이나 식품첨가물보다 미생물의 발생으로 인한 식품오염으로 나타날 수 있는 식중독의 경우 더욱 치명적일 수 있으므로 이러한 사실을 일반 소비자들에게 인식시킬 필요가 있다. 불안을 느끼는 식품으로, 도시락은 대상자의 93.3%가, 수입식품은 92.7%, 패스트푸드 89.9%, 햄과 소시지 등 식육가공식품 88.7%, 외식(패스트푸드 이외의 식품) 85.6%, 통조림과 냉동식품 등 가공식품 83.5%, 컵라면 등 인스턴트식품 82.0%, 쌀 47.4%, 식용유 53.8%, 우유 및 유제품은 56.6%가 불안하다고 느꼈다. 식품의 제조(재배) 및 원료(원산지)를 제시해주는 식품표시에 대하여 신뢰하지 못하고 불안을 느끼는 대상자가 많으므로(75.2%) 표시제도와 인증제도의 적절한 운용을 통해 식품에 관련한 충분한 정보가 소비자들에게 전달될 수 있는 대책이 강구되어야 하겠다. 신선식품(농축산물) 구입시 가장 우려되며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사항은 ‘수입산인지 국내산인지’이었으며 ‘유통기한’, ‘무농약 및 유기재배 여부’, ‘만질 때 혹은 외관상으로 느껴지는 신선함’ 등이 그 다음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공식품 구입시에는 ‘보존료 및 착색료 등의 식품첨가물’(93.6%), ‘유통기한’(92.4%), ‘원재료가 무농약ㆍ유기재배인지’(88.8%)에 대하여 염려된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식품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식품생산에서 소비단계까지 개선사항으로 ‘비료, 농약 살포, 수확시 관리 등 생산단계’(59.6%) 및 ‘물, 토양, 대기 등 자연환경’(43.6%)의 개선이 중요하다는 견해가 많았다. 위의 결과로 볼 때 식품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식품위생과 안전성, 식품표시에 대한 홍보와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소비자들의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과 신뢰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농장단계에서 오염원을 줄이는 방안이 최종생산물의 검사에 기반을 둔 식품안전정책보다도 안전성 확보에 훨씬 유효하다는 사고방식이 보편화되고 있으므로 농산물 생산단계에 우수농산물관리제도(good agricultural practices)를 정착시키고, 나아가 사전예방 원칙을 적용한 HACCP 시스템을 도입하여 식품(특히 축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여야 하겠다. 또 food chain 전반에 관한 이력정보의 부족과 정보의 신뢰성이 문제가 되므로 생산단계부터 가공단계, 유통단계, 그리고 판매단계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과정을 소비자가 역으로 거슬러 올라가 확인할 수 있는 ‘이력정보체계(traceability system)’를 활성화하여야 하겠다.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consumer perceptions of food-related hazard in 500 housewives from all over Korea. The subjects were selected by stratified random sampling method. The survey was perform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through telephone interview by skilled interviewers. The results showed that 34.6% of the respondents felt secure and were not concerned about food safety, and 65.4% were concerned about food safet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increasing concern on food brands, food additives (such as food preservatives and artificial color), and imported foodstuffs indicated the current increasing concern on food safety. Other related factors indicating the increasing concern on food safety were education level and care for children’s health. The respondents who cared about food safety expressed a high degree of concern on processed foodstuffs such as commercial boxed lunch (93.3%), imported foods (92.7%), fastfoods (89.9%), processed meat products (88.7%), dining out (85.6%), cannery and frozen foods (83.5%), and instant foods (82.0%). The lowest degree of concern was on rice. All the respondents perceived that residues of chemical substances such as pesticides and food additives, and endocrine disrupters were the most potential food risk factors, followed by food-borne pathogens, and GMOs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However, these results were not consistent with scientific judgment. Therefore, more education and information were needed for consumers’ awareness of facts and myths about food safety. In ad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consumers put lower trust in food products information such as food labels, cultivation methods (organic or not), quality labels, and the place of origin. Nevertheless, the respondents expressed their desire to overcome alienation, and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knowing of the origin or the producers of food. They identified that people who need to take extreme precautions on food contamination were the producers, government officials, food companies, consumers, the consumer’s association, and marketers, arranged in the order of highest to lowest. They also believed that the production stage of agriculture was the most important step for improving the level of food safety. Therefo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is a need to introduce safety systems in the produc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as follows: Good Agricultural Practice (GAP),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 (HACCP), and Traceability System (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