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지방선거에 대한 평가
2. 유권자 선택의 배경과 의미
3. 한국 민주주의의 취약성을 노출시킨 지방선거
4. 6월민주항쟁의 종료를 상징하는 지방선거
5. 지방선거는 2007년 대통령선거의 예고편
6. 시민사회운동의 딜레마와 과제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6월 민주항쟁 20년, 한국 민주주의 성장과 과제] 87년 체제, 민주주의, 대통령선거
관훈저널
2007 .09
시민운동에 의한 선거감시
관훈저널
1992 .07
한국의 지방선거와 로컬 매니페스토 : 2006년 5·31 지방선거를 중심으로
한국동북아논총
2007 .12
시민운동과 5ㆍ31 지방선거에 대한 약간의 논리연습
시민과세계
2006 .07
지방선거에서의 정당공천제와 경선제 : 5.31지방선거를 중심으로
국제정치연구
2006 .06
역대지방선거의 반성과 6.27 지방선거의 과제
한국사회과학연구
1995 .12
역대 동시 지방선거의 회고와 6ㆍ13지방선거 평가
사회과학연구
2003 .02
독일과 한국 지방선거의 특징과 정치적 의미 : 투표 참여와 정당지지를 중심으로
유럽연구
2010 .04
제 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춘천의 지방권력 교체는 어떻게 가능하였는가?
사회과학연구
2019 .12
지방 재·보궐 선거와 선거의 정치적 비중 : 지방 재·보궐 선거의 결정요인 분석
사회과학연구
2016 .12
6월 민주항쟁 20년, 한국 민주주의 성장과 과제
관훈저널
2007 .09
선거제도와 선거운동
저스티스
2012 .06
지방선거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3대 전국 동시선거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2004 .08
한국과 일본의 ‘시민운동’ 개념 비교 : 초기 시민운동론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05 .06
영국 지방선거에서의 공정선거 확보방안
유럽헌법연구
2010 .01
지방선거: 지방정부의 구성을 위한 것인가? 중앙정치의 대리전인가?
OUGHTOPIA
2014 .11
선거제도 및 관리가 선거결과에 미치는 영향 : 제 5회 지방선거를 대상으로
OUGHTOPIA
2010 .12
수도권 선거는 어떠한 특성을 보이는가? : 2018년 6.13 지방선거 분석
연구방법논총
2019 .07
시민운동의 진로 모색 : 노동없는 민주주의?
시민과세계
2007 .05
선거와 선거관리에 대한 유권자 의식 분석 : 제19대 대통령 선거를 중심으로
연구방법논총
2017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