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머리말
Ⅱ. 왜 토문이 문제인가?
Ⅲ. 중국이 주장하는 토문강의 진실과 비판
Ⅳ. 역사서와 지도를 통해 본 土門江과 圖們江
Ⅴ. 결론 : 토문강의 진실은?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문헌 연구와 실지 답사를 결합한 한·중 국경 문제의 재검토 - 이화자, 『백두산 답사와 한중 국경사』, 혜안, 2019 -
동양사학연구
2020 .06
全羅左水營의 水塲과 鯈魚의 意味
지방사와 지방문화
2020 .05
8월의 江
숙명문학
2019 .11
강(江) 1
시조시학
2010 .06
삶의 바탕…江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1982 .12
조선후기 국경인식에 있어서 豆滿江ㆍ土門江ㆍ分界江 개념과 그에 대한 검토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07 .09
鴨綠ㆍ豆滿江 국경문제에 관한 한ㆍ중 양국의 연구동향
한국사학보
2002 .03
백두산정계비 설치와 김지남의 역할
역사와실학
2007 .09
강도(江都)의 궁(宮)
황해문화
1996 .09
한국현대소설에 나타난 두만강의 형상과 그 함의
현대소설연구
2008 .12
豆滿江 開發計劃과 韓國 企業의 對應戰略
성곡논총
1994 .06
조 · 중간의 경계분쟁과 고지도
한일관계사연구
2012 .08
용강龍江
시조시학
2012 .03
19세기말 조선의 疆域인식 변화 : 李重夏의『勘界事謄錄』을 중심으로
역사와실학
2008 .12
조선후기의 북방영토의식
한국사연구
2005 .06
설림 : 두만강이북에서 조선인사회의 형성
한국사학보
2009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