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서론
Ⅱ. 내정부 토지 행정 기구 변천과 내정부 지도 전산화
Ⅲ. 내정부 지도의 가치 및 의미
Ⅳ. 장래 연구해야 할 과제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중화민국 초기 중국의 학제개편과 역사교육
아시아문화연구
2012 .06
소련이 ‘간도 지역을 북한의 영토로 획정’한 중화민국 외교부 사료와 간도문제에 대한 연구 과제
중국사연구
2006 .01
서간도, 동간도가 명기된 참모본부 지도에 대하여 : 중화민국 중앙연구원 근대사연구소에서 새롭게 발견한 간도 자료
동양사학연구
2007 .12
백두산정계비 설치와 김지남의 역할
역사와실학
2007 .09
集安高句麗碑의 건립시기와 성격
한국고대사연구
2013 .12
中華民國 時期의 ‘間島’ 認識 -당시 출판된 신문 잡지의 ‘간도’ 기사를 중심으로-
중국사연구
2010 .01
한국과 대만의 관계 -‘中華民國 100年’: 韓台關係의 역사와 현실-
중국학논총
2011 .01
[시] 門碑
황해문화
2008 .12
冉牟墓誌與中原高句麗碑
고구려발해연구
2000 .12
冉牟墓誌와 中原高句麗碑
고구려발해연구
2000 .12
한국 고대 금석문의 발견지와 건립지
한국고대사연구
2019 .03
중화민국산동내양선교소식
신학지남
1923 .01
중국 ‘五四 紀念’의 30년 추이(1920~49) - ‘정치부호’이자 ‘역사자산’으로서의 「五四」 -
중국근현대사연구
2019 .09
간도의 정치적 특수성과 일본의 간도분리론
일본문화연구
2009 .10
고구려 碑에 대한 고찰
목간과문자
2017 .06
한중간 영토 분쟁에 대한 비판적 검토 : 한중 양국의 논리와 대응
아시아문화연구
2008 .05
中央硏究院 歷史語言硏究所
민족문화
1976 .12
문헌 연구와 실지 답사를 결합한 한·중 국경 문제의 재검토 - 이화자, 『백두산 답사와 한중 국경사』, 혜안, 2019 -
동양사학연구
2020 .06
토문강을 둘러싼 중국의 ‘역사 조작’혐의
중국근현대사연구
2008 .12
통감부 시기 대한제국의 간도문제 인식
역사와경계
2007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