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떡 포장은 플라스틱 재료가 주로 사용하며 랩핑 포장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현재 시장에서 판매되는 떡들은 당일 생산 및 당일 소비(2일내 소비)를 하는 제품으로 포장을 중요성을 많이 고려하고 있지 않지만, 최근 유통기한이 늘어난 떡 제품의 상품화를 위해서 떡 포장의 개발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떡의 상품화 증대를 위하여 수도권 지역 소비자 대상 중심으로 포장 개선에 대한 기호도 조사에서 절취선을 손으로 개봉하는 개봉방법, 2~3개의 파티션(홈)이 존재하는 내부 디자인, 제품을 낱개 포장한 포장, 포장에 직접 인쇄하는 인쇄방법, 내용물의 상태가 완전히 보일 수 있는 포장방법을 선호하는 것으로 파악 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떡 제품에 대한 상품성 부여를 위하여 현재 소비자가 떡 제품 포장의 선호하는 트랜드 분석과 포장의 중요성이 인지되고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고려한 국내 주요 떡 제품 포장에 따른 소비자 구입 선호도를 조사 연구를 기반으로 다양한 떡 종류 및 형태에 따른 포장 소비 선호도 그리고 각 포장방법 변경에 따른 상품화 가능성 및 가격 변화 요인을 고려한 연구가 향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조사 연구 결과로 제시한 떡 포장 설계 구조의 적용과 함께 떡의 품질 개선을 위한 기능성 포장재 적용 연구 및 최적 제품 환경을 조성하는 포장 기법 연구 등을 통하여 떡 제품의 부가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으리라 기대해 본다.
In this study we surveyed the packaging preferences of consumers for Korean rice cakes as current commercial products in Korea.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from a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typical rice cake packaging patterns and sent to 2332 residents in Korea by random sampling mail. The questionnaire contained questions on the preferences of interior design in packaging, opening methods, individually separated types, printing position, packaging methods, and packaging materials such as paper and plastic. There were responses from 304 resident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an SPSS package program. Most of the packaging used for Korean rice cakes was plastic (58.9%) which was used for packaging materials and stretch wrap (42.9%) as packing methods. The results showed the preference was the perforated line type used by hand for opening a packaging and interior packaging design with 2~3 partitions. Most respondents expressed an interest in using individual packaging and having printing directly on the packaging. Also, the respondents preferred the packaging design that let them see the contents of a packag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this paper suggested that most consumers would prefer to choose a packaging system with a partition design in a plastic container, individually separated products, and a transparent container for Korean rice cakes. The results of packaging preferences could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for suitable packaging development for Korean rice cakes.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improve the shelf life of Korean rice cakes with functional packaging systems such as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or anti-microbial packag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