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화형 소시지 제조 시에 산란 노계육의 첨가량(0, 10, 20, 30%)을 다르게 하여 제조한 소시지를 냉장온도(4±1℃)에서 7일간 저장한 후, 소시지의 일반성분, pH, TBARS, WHC, 전단력, 가열 감량, 총 미생물수, 육색 및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시험구는 산란 노계육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 산란 노계육을 10% 첨가한 T1, 산란 노계육을 20% 첨가한 T2, 산란 노계육을 30% 첨가한 T3 등 4개 처리구로 나누어 7일간 저장한 후 실험하였다. 일반성분 중 수분, 조단백질 및 조회분 함량은 산란 노계육이 첨가된 소시지에서 유의성이 없으며, 조지방 함량은 산란 노계육의 첨가구에서 특히 T3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소시지의 이화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pH, TBARS 및 총 미생물수는 처리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으며, 보수성은 산란 노계육의 첨가구에서 증가하였고, 산란 노계육의 첨가량에 의한 차이는 없었다. 가열 감량은 대조구와 T1, T2 보다 T3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산란 노계육이 첨가된 유화형 소시지의 육색은 명도와 황색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적색도는 산란 노계육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훈련된 관능검사요원에 의한 관능검사 결과, 다즙성과 기호성에는 유의성이 없었다. 그러나 경도는 산란 노계육의 첨가량이 많은 T3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찰해 보면 유화형 소시지 제조 시 산란 노계육의 첨가는 소시지의 품질 변화 없이 첨가 가능성이 있으리라 생각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meat from spent laying hen on the shelf-life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mulsified sausage. Four types of sausage were made: 0% (Control), 10% (T1), 20% (T2) and 30% (T3) of spent hen meat added. Each sausage type was tested in triplicate. The addition of spent hen meat resulted in decreased crude fat and cooking loss, and increased WHC (water holding capacity), CIE a<SUP>*</SUP> and hardness. Values for crude fat and cooking los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the addition of spent laying hen meat relative to the control (P<0.05). Especially, T3 was significantly (P<0.05) decreased compare to other treatment groups. Spent laying hen meat addition had no significantly effects on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ash, pH, WHC, TBARS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values, shear force, total plate counts (TPC), CIE L<SUP>*</SUP> and b<SUP>*</SUP> values. In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addition of spent laying hen meat to emulsified sausages tended to improve sausage q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