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이병현 (부산대학교) 이경희 (부산대학교)
저널정보
대한설비공학회 설비공학논문집 설비공학논문집 제28권 제7호
발행연도
2016.7
수록면
288 - 292 (5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refuge safety area in the high-rise building type. Each simulation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ree types in improving the refuge safety area. Targeting the first 63 floors (no refuge safety area), secondly, to target up to the 30<SUP>th</SUP> floor (refuge safety area on the 30<SUP>th</SUP> floor, 47<SUP>th</SUP> floor) specified in domestic laws, and finally, the 20<SUP>th</SUP> floor (evacuation safety area on the 20<SUP>th</SUP> floor, 42<SUP>th</SUP> floor) were considered as targets. Through this analysi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The floor for the refuge safety area through simulations showed that the evacuation time is low.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floor for the refuge safety area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omestic fire fighting vehicle. The first floor for the refuge safety area from the ground floor differs according to the distance and height of the building floor. However, in the case of a business facility it is 15F, and in the case of apartment housing, it is 20F.

목차

Abstract
1. 서론
2. 국내ㆍ외 법규 검토
3. 시뮬레이션 개요
4. 시뮬레이션 결과
5.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7-553-0007868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