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들어가며
2. 인삼의 실제 처방과 인삼함유 매약
3. 약물학(藥物學)에서 규정한 인삼의 효용
4. 약전에서 퇴출된 인삼?
5. 나가며
참고문헌 REFERENCES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17-18세기 영미권의 인삼(Ginseng) 인식
의사학
2016 .08
청대 길림의 재배삼과 자연환경
동국사학
2022 .04
대한제국 시기 인삼업의 변화와 특징 -개성 지역 이외의 인삼 재배지를 중심으로-
학림
2021 .09
19세기 영국신문에 나타난 인삼(ginseng)
영국 연구
2015 .01
17~18세기 전반 인삼무역의 변동과 개성상인의 활동
탐라문화
2017 .06
만주족과 인삼, 인삼설화
동아인문학
2019 .12
개항 후 조선의 포삼정책과 홍삼의 어용화(1876~1894)
한국사연구
2021 .09
1930년대 백삼 통제의 전개와 개성상인 간 갈등 연구
역사연구
2019 .12
17세기 후반 조선의 禁蔘 정책과 대일 인삼 무역
史叢(사총)
2024 .01
인삼첨가량에 따른 살균 인삼막걸리의 품질특성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015 .01
인삼에서 ‘Ginseng’으로 ? Made in Choseon의 ‘해피 드러그’ ?
日本思想
2021 .01
19세기 개성상인 회계장부에 나타난 여성 금융
여성과역사
2015 .01
홍삼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특성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016 .01
한말 · 일제강점 초기 개성 홍삼제조장의 변천과 의미
장서각
2024 .10
한말(1898-1899) 황실의 홍삼 전관(專管) 연구
역사와실학
2024 .08
근대 국제 협약의 홍삼무역 규정과 그 특성(1876~1894)
한국사학보
2021 .05
해방 이후 1950년대 홍삼 수출 연구
사학연구
2022 .12
조선후기 삼척지방의 인삼 수취와 火蔘田 운영 : 「所達面蔘火稅錢磨鍊成冊」을 중심으로
역사와경계
2024 .12
갑오·을미개혁 시기 홍삼 정책과 수출 연구
사학연구
2023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