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이영희 (한양대학교) 이재진 (한양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언론법학회 언론과법 언론과 법 제18권 제1호
발행연도
2019.4
수록면
139 - 183 (45page)
DOI
10.26542/JML.2019.4.18.1.139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공정이용 조항이 포함되어 있는 저작재산권 제한규정의 입법에 관하여 헌법적 기준을 살펴보고, 국내 법원에서 채택하고 있는 공정이용의 판단기준을 고찰하였다. 저작권법상 공공의 이익을 도모하고자 제정된 공정이용의 판단기준을 알아본 결과, 4가지 판단기준 중 가장 많이 채택된 기준은 ‘이용의 목적 및 성격’이며, ‘이용된 부분이 저작물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그 중요성’, ‘수요대체여부’, ‘저작물의 종류 및 용도’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반적으로 미국의 공정이용 판례와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그런데 국내 법원에서는 공익성 또는 공공성이 공정이용여부를 판단하는 데 일부 고려되고 있었다. 우리 저작권법의 저작재산권 제한 조항은 헌법상 ‘공공복리’의 실현을 그 기저에 두고 있다. 따라서 ‘공공복리’나 ‘공익’이 아닌 미국의 판례법에 따른 공정이용 판단기준을 따르는 것은 우리 헌법과의 부조화가 발생할 여지가 있다. 우리나라와 헌법적 체계가 유사한 일본의 경우, 오랜 기간 저작권법 개정을 검토하며 공정이용을 적용하는 데 있어 공익을 고려하는 법리를 도입한 바 있다. 저작물의 이용 목적에 공공복리 실현 여부도 공정이용의 판단기준으로 적극 수용가능한지에 대한 사회적, 법리적 논의가 국내에서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국문초록
Ⅰ. 문제제기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32)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과 연관된 판례 (20)

  • 서울고등법원 2007. 10. 2. 선고 2006나96589 판결

    자세히 보기
  • 서울고등법원 2008. 9. 23. 선고 2007나70720 판결

    [1] 구 저작권법(2006. 12. 28. 법률 제8101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2조 제15호 소정의 배포라 함은, 저작물의 원작품 또는 그 복제물을 일반공중에게 대가를 받거나 받지 아니하고 양도 또는 대여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와 같은 `배포’의 개념은 `전송’의 개념과 대비되어, 무체물이 아닌 유체물의 형

    자세히 보기
  • 서울남부지방법원 2008. 6. 5. 선고 2007가합18479 판결

    방송사의 오락프로그램에서 저작권자의 허락 없이 무단으로 영화의 일부 장면을 약 3분간 인용하여 방송한 사안에서, 그 목적이 시청자들에게 정보와 재미를 주기 위한 것이라고 하더라도 그 이용의 성격은 상업적·영리적인 점 등에 비추어 구 저작권법(2008. 2. 29. 법률 제885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8조에 정한 공

    자세히 보기
  • 서울중앙지방법원 2010. 4. 30. 선고 2010노239 판결

    자세히 보기
  • 서울고등법원 2008. 11. 19. 선고 2008나35779 판결

    자세히 보기
  • 서울고등법원 2012. 4. 4.자 2011라1456 결정

    자세히 보기
  • 대법원 2014. 8. 26. 선고 2012도10777 판결

    자세히 보기
  • 청주지방법원 2012. 10. 18. 선고 2012고정448 판결

    자세히 보기
  • 서울고등법원 2005. 7. 26. 선고 2004나76598 판결

    자세히 보기
  • 서울고등법원 1996. 7. 12. 선고 95나41279 판결

    [1] 한국문예학술저작권협회가 영위하는 신탁관리업은 저작권법 제78조에 근거하는 것으로서 그 법적 성질은 신탁법상의 신탁에 해당되는바, 신탁법상의 신탁은 위탁자와 수탁자 간의 특별한 신임관계에 기하여 위탁자가 특정의 재산권을 수탁자에게 이전하거나 기타의 처분을 하고 수탁자로 하여금 수익자의 이익을 위하여 또는 특정의 목적을 위하여 그 재

    자세히 보기
  • 서울중앙지방법원 2006. 7. 21. 선고 2004가합76058 판결

    [1] 온라인서비스 이용자의 개별적인 저작권 침해행위에 대하여 온라인서비스제공자에게 방조책임이 있다고 인정하려면, 온라인서비스제공자가 이용자의 저작권 침해행위를 직접 확인하거나 적어도 미필적으로 이를 인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용이하게 도와주거나, 이러한 침해행위에 도움을 주지 않아야 할 주의의무가 있음에도 이를 위반하였다고 평가될 수 있

    자세히 보기
  • 서울고등법원 2010. 10. 13. 선고 2010나35260 판결

    자세히 보기
  • 대법원 2014. 8. 26. 선고 2012도10786 판결

    [1] 사진촬영이나 녹화 등의 과정에서 원저작물이 그대로 복제된 경우, 새로운 저작물의 성질, 내용, 전체적인 구도 등에 비추어 볼 때, 원저작물이 새로운 저작물 속에서 주된 표현력을 발휘하는 대상물의 사진촬영이나 녹화 등에 종속적으로 수반되거나 우연히 배경으로 포함되는 경우 등과 같이 부수적으로 이용되어 그 양적·질적 비중이나 중요성이 경미한 정도에 그치

    자세히 보기
  • 대법원 2013. 2. 15. 선고 2011도5835 판결

    [1] 저작물의 공정이용은 저작권자의 이익과 공공의 이익이라고 하는 대립되는 이해의 조정 위에서 성립하므로 공정이용의 법리가 적용되기 위해서는 그 요건이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을 것이 필요한데, 구 저작권법(2009. 3. 25. 법률 제952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같다)은 이에 관하여 명시적 규정을 두지 않으면서(`저작물의 공정한 이용’에 관한 규

    자세히 보기
  • 서울민사지방법원 1992. 6. 5. 선고 91가합39509 제12부판결

    가. 국민학교 교과서는 그 내용인 글과 삽화를 배열하여 이루어진 저작물로서 삽화가 글로 분리되어 이용될 수 있어 공동저작물이 아니고 편집저작물이므로, 교과서의 저작권은 교육부에 있더라도 이에 수록된 삽화에 대한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다.

    자세히 보기
  • 대법원 2006. 2. 9. 선고 2005도7793 판결

    자세히 보기
  • 대법원 1990. 10. 23. 선고 90다카8845 판결

    가. 저작권법의 보호대상인 저작물이라 함은 사상 또는 감정을 창작적으로 표현한 것으로서 문학, 학술 또는 예술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면 되고 윤리성 여하는 문제되지 아니하므로 설사 그 내용중에 부도덕하거나 위법한 부분이 포함되어 있다 하더라도 저작권법상 저작물로 보호된다 할 것이다.

    자세히 보기
  • 대법원 1997. 11. 25. 선고 97도2227 판결

    [1]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되는 저작물은 문학·학술 또는 예술의 범위에 속하는 창작물이어야 하는바, 여기에서 창작물이라 함은 저자 자신의 작품으로서 남의 것을 베낀 것이 아니라는 것과 최소한도의 창작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따라서 작품의 수준이 높아야 할 필요는 없지만 저작권법에 의한 보호를 받을 가치가 있는 정도의 최소한의 창작성

    자세히 보기
  • 서울지방법원 1995. 9. 27.자 95카합3438 결정

    우리 나라 국민들에게 많은 귀감이 될 수 있는 뛰어난 기업인으로서 이미 우리 사회의 공적 인물이 되었다고 볼 수 있는 경우 그 사람은 자신의 사진, 성명, 가족들의 생활상이 공표되는 것을 어느 정도 수인하여야 하고, 그 사람을 모델로 하여 쓰여진 평전의 표지 및 그 신문광고에 사진을 사용하거나 성명을 표기하는 것, 그 내용에 가족관계를

    자세히 보기
  • 서울중앙지방법원 2015. 2. 12. 선고 2012가합541175 판결

    온라인 교육사업 등을 영위하는 甲 주식회사가 교육 관련 서적을 출판하는 乙 주식회사와 체결한 출판물 이용계약이 기간 만료로 종료되었는데도 乙 회사의 교재를 이용하여 제작한 동영상 강의를 계속 홈페이지를 통해 수강생들에게 유료로 제공해 오다가 乙 회사를 상대로 저작권 침해에 따른 손해배상채무의 부존재 확인을 구한 사안에서, 제반 사정에 비추어 위 동영상 강의

    자세히 보기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9-070-000763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