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한웅신 (삼성서울병원) 성낙순 (삼성서울병원) 김경수 (삼성서울병원) 고인범 (삼성서울병원) 안미섭 (삼성서울병원) 현동호 (삼성서울병원)
저널정보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지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지 제22권 제1호(통권 제35호)
발행연도
2019.5
수록면
136 - 142 (7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목적 : 현재 수술적 치료를 대신하여 병원 내 혈관 조영실에서 다양하고 복잡한 시술을 시행하고 있다. 이로 인해 병원 내 감염관리 또한 수술장과 더불어 일정한 청정도를 유지해야 한다. 특히 Venous Malformation Sclerotherapy(V.M Scle)과 Balloon occluded Retrograde Transvenous Obliteration(B.R.T.O) 시술의 경우 시술실 안에 존재하는 공기를 직접 혈관 내에 주입 해야 하므로 감염관리에 각별히 신경 써야 할 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체 내에 공기를 주입 했을 경우 문제가 되지 않는 혈관 조영 시술실 내의 공기청정도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대상으로는 삼성서울병원 혈관 조영실 시술실 내에서 실험을 진행 하였으며 측정에 이용된 기구로는 식약청 인증을 받은 입자계수기(particle counter, Aero Trak APC 9310-02 Made in USA)(g)(h)와 시술실 안에 있는 낙하균을 실험하기 위한 일반세균(Tryptic Soy Aga ,TSA)배지, 진균(Sabroud Dextrose Aagr,SDA)배지 이용하였다. 공조 횟수의 경우 20~25회/h 상태에서 진행하였고 공조방법은 난류형 형태로 진행하였으며 HEPA filter의 경우 교체 후 4개월 경과 된 상태였다. 실험은 미항공우주국(NASA) NHB 5340.2에 기준을 두고 진행하였다. 입자 수 실험으로는 공간적 상태는 시술실 문을 닫고 사람이 없는 공실 상태와 실제시술자가 시술을 진행하는 상태에서 각각 실험하였고 위치는 시술실 문 앞쪽과 문 안쪽 부분으로 나누어 입자 계수기를 이용하여 1분간 총 5회에 거쳐 같은 위치, 높이(1m)에서 측정하였다. 입자 수의 크기는 0.5㎛, 1.0㎛, 3.0㎛, 5.0㎛ 크기 별로 입자 수를 측정하여 합산하였다. 낙하균 시술대 위에 일반세균 배지와 진균 배지를 각각 올려 놓은 상태에서 공조상태에서 1시간 동안 채취를 하였고 그 후로 일반세균 배지의 경우 32도 온도에서 48시간, 진균 배지의 경우 25도 온도에서 96시간을 각각 배양하여 실험하였다.
결과 : 입자 수의 결과 사람이 없는 공실 상태에서 문 앞쪽의 경우 0.5㎛ 크기 이상의 입자 수는 평균 2477, 안쪽 시술 측의 경우 평균 1735 나타났다. 실제시술자가 시술을 진행하는 상태에서는 문 앞쪽의 경우 0.5㎛ 크기 이상의 입자 수는 평균 4668, 시술상태의 경우 평균 4474로 나타났다. 실험결과 시술자가 없는 공실상태의 경우 문 앞쪽이 안쪽 시술 측에 비해 1.4배 높은 입자 수를 보였고 실제 시술자가 시술을 진행하는 상태의 경우 문 앞쪽이 안쪽 시술 측에 비해 약 1.1배 수치의 상승을 보였다. 시술자가 없는 상태와 있는 상태에서의 수치를 비교해 볼 때 문 앞쪽의 경우 1.8배의 입자 수 상승이 보여졌고 문 안쪽의 경우 2.5배에 달하는 수치 상승이 보여졌다. 낙하균 실험결과는 일반세균 배지와 진균 배지 모두 낙하균의 colony 즉 집락은 발생 되지 않았고 두 실험 결과 모두 class 10000에 적합한 수치였다.
결론 : 혈관 조영 시술실 내의 공기 청정도 실험 결과 class10000 이내에 공기 청정도 수치가 나타났다. 이는 미국에서 제시하는 미항공우주국(NASA) NHB 5340.2 기준으로 볼 때 BCR(바이오클린룸)기준에서 병원관련 일반 수술실 부분에 합당한 결과이다. 상기 조건의 시술실 내에서 삼성서울 병원 혈관조영실에서 지난 8년간 총 1479명 환자가 시술실 내 공기를 이용한 시술을 진행 하였고 모든 환자에게서 공기에 오염으로 인한 부작용은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혈관 조영 시술실 내의 공기 청정도를 최소한 Class10000내로 유지한다면 시술실 내 공기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은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초록
서론
대상과 방법
결과
결론 및 고찰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