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상헌 (삼성서울병원) 이대규 (삼성서울병원) 고인범 (삼성서울병원) 안미섭 (삼성서울병원)
저널정보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지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지 제23권 제1호(통권 제36호)
발행연도
2020.7
수록면
138 - 145 (8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목적
흉부의 악성 및 양성 질환의 감별에 대한 검사방법인 경피적 세침 흡인술(percutaneous needle aspiration, PCNA)을 시행하기 위한 형광투시(fluoroscopy)를 이용한 방법과 전산화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을 이용한 방법의 선택에 있어 도움이 되고자 각각의 선량적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PCNA를 시행한 것 중에서 fluoroscopy(n=239)를 이용한 경우와 CT (n=42)를 이용한 시술 대상으로 저 난이도 시술과 고 난이도 시술도 분류하여 평균 소요된 시간 및 횟수를 집계하고 적용하였다. phantom을 대상으로 실험에 적용될 검사 횟수 및 fluoro time을 적용하고 본원의 경우 CT에서 시행되는 모든 시술은 고 난이도로 fluoroscopy에서 Carm CT를 시행하지 않는 경우 저 난이도 시술로 분류하였다. fluoroscopy에서는 Table 높이 95 cm, SID 120, FD 48로 설정 후 저 난이도 fluoro time 90 sec, 고 난이도 fluoro time 90 sec, C-arm CT 1 time으로 실험하였다. CT의 경우 Table 높이 125 cm, Internal landmark 128로 설정 후 scout scan 1 time, pre scan 40 slice<SUP>*</SUP> 1 time, mid scan 12 slice<SUP>*</SUP> 2 time, post scan 25 slice* 1 time으로 설정하였으며 각각 30 time을 유리선량계를 이용하여 표면선량과 장기선량을 측정하였다. 통계 검정을 위해 독립표본 t 검정(independent t-test)를 사용하고 프로그램은 SPSS (version 22.0)를 사용하였고, p-value 0.05이하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설정하였다.

결과
고 난이도 시술의 경우 Fluoroscopy 에서 평균 표면선량 11101.37±648.83 μGy, 장기선량 4371.40±104.20 μGy 로 나왔으며 CT 에서 평균 표면선량 5855.17±182.26 μGy, 장기선량 4847.30±114.90 μGy 로 나타났다. 저 난이도 시술의 경우 fluoroscopy 에서 평균 표면선량 2340.93±84.88 μGy, 장기선량 638.27±49.00 μGy 로 나왔으며 CT 에서 평균 표면선량 5855.17±182.26 μGy, 장기선량 4847.30±154.90 μGy 로 나타났다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결론
저 난이도 시술을 fluoroscopy로 이용하면 표면선량의 경우 CT보다 60% 더 적은 선량으로 시술이 가능하고 장기선량의 경우 CT보다 86% 더 적은 선량으로 시술할 수 있었다. 고 난이도 시술의 경우 표면선량에서 fluoroscopy를 이용한 시술보다 CT를 이용할 경우 47%의 선량감소효과를 보였지만 장기선량의 경우 CT를 이용한 시술보다 fluoroscopy를 이용할 경우 9.8%의 선량감소효과가 있었다. 때문에 고 난이도 시술 시 전반적인 선량에서 CT를 이용할 경우 더 효율적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시술 부위의 질환이 큰 저 난이도 시술의 경우 fluoroscopy를 이용한 시술이 전반적인 부분에서 우수하나 질환의 크기가 작고 난해한 고 난이도 시술의 경우 상황에 따른 시술의의 판단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목차

서론
대상 및 방법
고찰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512-00109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