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산업혁신연구 산업혁신연구 제33권 제1호
발행연도
2017.1
수록면
117 - 152 (36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기업혁신은 학계의 지속적 연구 주제 중 하나이고 기업에게는 늘 절실한 실행 과제지만, 이론과 실제 간의 괴리는 여전히 큰 상태이다. 그 이유 중 하나는 학계는 일반적으로 세부 학문분야별로 혁신 연구를 수행해 온 반면, 기업은 종합적 시각에서 혁신을 모색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다양한 기업활동을 일반화 한 상위 수준의 개념모형 즉, 메타(meta)모델에 입각해서 포괄적 혁신유형들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에서 메타모델이란 일반적 기업활동을 2개의 축 즉, 기업 가치사슬(X축)과 경영관리계층(Y축)으로 구분한 개념모형(‘4W1H’)을 가리킨다. 4W1H에 입각해서 고객가치, 공급역량, 가치제안, 시장유통, 운영방식 등 5가지 혁신영역을 설정하고, 각 영역을 생태계로의 진전 수준에 따라 5개로 구분해서 총 25개의 혁신유형을 도출하였다. 혁신유형 분류에 대한 종래의 연구는 대부분 bottom-up 방식(즉, taxonomy)임에 반해 본 연구는 top-down 방식(즉, typology)이어서 아직 등장하지 않은 새로운 혁신유형을 제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제안한 혁신유형 분류에 따라 세계적 혁신기업으로 선정된 기업들을 중심으로 국내/외 20개 기업의 혁신활동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혁신기업에 대한 종래의 평가와 큰 차이는 없는 가운데 기업별 혁신전략과 수준의 차이를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제안한 혁신유형 분류의 유효성은 확인하였으나 제한된 사례분석에 의한 것이므로 향후, 광범위한 기업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일반화 가능성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학계에는 기업혁신관련 분절된 연구들을 통합할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하고, 기업들에게는 혁신 수준 진단이나 대안의 탐색과 전략적 선택을 지원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4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