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헌법재판소 2012. 8. 23. 선고 2010헌바402 전원재판부
가. 이 사건 법률조항과 자기낙태죄는 대향범이고, 이 사건은 낙태하는 임부를 도와주는 조산사의 낙태를 처벌하는 것이 위헌인지 여부가 문제되는 사안이므로, 자기낙태를 처벌하는 것이 위헌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동일한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임부의 동의를 받아 낙태시술을 한 조산사를 형사처벌하는 이 사건 법률조항도 당연히 위헌이 되는 관계에 있다고 봄이 상당하다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02. 3. 28. 선고 2000헌마283·778(병합) 전원재판부
가.(1)이 사건 법률조항(지방교육자치에관한법률 제62조 제1항)에서 교육위원 및 교육감의 선거인단을 학교운영위원회 위원 전원으로 구성하도록 한 것은, 기본적으로 과거의 교육위원 등 선출제도에서 드러난 단점과 폐해를 보완·시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교육위원 및 교육감 선거인을 획기적으로 증원함으로써 금품수수 등 선거비리의 소지를 원천적으로 차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00. 3. 30. 선고 99헌바113 전원재판부〔합헌〕
지방교육자치는 민주주의·지방자치·교육자주라고 하는 세 가지 헌법적 가치를 골고루 만족시킬 수 있어야 하므로 지방교육자치기관의 구성에 있어 이 가운데 민주주의의 요구만을 절대시하는 것은 헌법적으로 허용될 수 없다 할 것인바, 이 사건 법률조항의 선거운동제한은 교육위원의 자주성·전문성을 고려하여 그 선출관련 비리를 원천 봉쇄함으로써 공정성을 제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03. 10. 30. 선고 2000헌바67,83(병합) 전원재판부
가.집회의 자유는 개인의 인격발현의 요소이자 민주주의를 구성하는 요소라는 이중적 헌법적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인간의 존엄성과 자유로운 인격발현을 최고의 가치로 삼는 우리 헌법질서 내에서 집회의 자유도 다른 모든 기본권과 마찬가지로 일차적으로는 개인의 자기결정과 인격발현에 기여하는 기본권이다. 뿐만 아니라, 집회를 통하여 국민들이 자신의 의견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09. 11. 26. 선고 2008헌마385 전원재판부
가. 이 사건 심판대상인 `공권력의 불행사’라는 것은 `연명치료 중단 등에 관한 법률의 입법부작위’인바, 위 입법부작위(또는 입법의무의 이행에 따른 입법행위)의 직접적인 상대방은 연명치료 중단으로 사망에 이르는 환자이고, 그 자녀들은 위 입법부작위로 말미암아 `환자가 무의미한 연명치료로 자연스런 죽음을 뒤로한 채 병상에 누어있는 모습’을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1995. 6. 29. 선고 93헌바45 전원재판부〔합헌〕
형사소송법(刑事訴訟法) 제312조 제1항 단서가 검사(檢事) 작성의 피의자신문조서(被疑者訊問調書)에 대하여 그것이 전문증거(傳聞證據)임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요건하에서 증거능력(證據能力)을 인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은 형사소송법(刑事訴訟法)이 목적으로 하는 실체적(實體的) 진실(眞實)의 발견(發見)과 신속(迅速)한 재판(裁判)을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켈젠의 법이론에 있어서 규범과 가치 -규범과 가치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법철학연구
2015 .12
헌법논증에서의 법사상과 역사적 요소 : 논증의 중립적 가치실현요소로서 기능을 중심으로
법학연구
2015 .06
규범의 일반이론
[KIIP] 한국지식재산연구원 도서DB
2016 .12
헌법재판소의 국제인권규범 활용에 대한 검토
헌법학연구
2022 .09
기후변화 문제와 관련된 논증적 글쓰기에 나타난 중등 과학 예비교사들의 논증 구조 유형 분석
에너지기후변화교육
2020 .01
인공지능사회에서의 기본권
공법연구
2020 .12
중학교 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규범과 사회정서학습 시행의도의 관계에서 개인적 규범의 매개효과
인문사회 21
2019 .01
교육대학생들의 논증 분석의 어려움 요인과 극복 방안
열린교육연구
2021 .01
사형제도에 관한 헌법 논증과 법감정
법학연구
2023 .05
국제규범 사회화(Norm Socialization)와 규범 준수에 대한 연구: 인도적 지원 분야의 규범 플랫폼 사례를 중심으로
국제정치논총
2020 .12
국어 교과서 논증 교육 내용의 타당성 고찰 -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논증 방법 파악하며 읽기’ 단원을 중심으로 -
청람어문교육
2022 .07
소셜미디어에서의 직·간접적 탈규범 경험이 청소년의 사회 규범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2019 .08
유럽연합의 대북한 정책 : 안보문제화, 규범, 그리고 외재화
유럽연구
2016 .09
SSI 논증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의 논증 능력 발달 분석
초등과학교육
2024 .07
고등학생 필자의 논증 도식 사용 양상과 시사점
새국어교육
2016 .12
툴민의 논증 모형을 활용한 과학 교과서의 논증 구조 분석
교육연구
2015 .01
도덕과 교육과정 핵심가치의 설정 원리 - 규범-가치 구별을 중심으로 -
도덕윤리과교육
2023 .02
자유권적 기본권의 도그마틱과 기본권 이론에 대한 검토
저스티스
2019 .02
헌법규범과 현실
[KIIP] 한국지식재산연구원 도서DB
2019 .12
신흥 강대국의 규범적 저항 전술들: 보호책임의 규범적 변화에 대한 중국의 접근 방식 분석
세계지역연구논총
2023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