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성기운 (농촌진흥청) 강주원 (농촌진흥청) 조수민 (농촌진흥청) 권영호 (농촌진흥청) 이소명 (농촌진흥청) 이샛별 (농촌진흥청) 조준현 (농촌진흥청) 박동수 (농촌진흥청) 신말식 (전남대학교) 이지윤 (농촌진흥청)
저널정보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제29권 제1호
발행연도
2022.2
수록면
21 - 33 (13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초다수성 통일형 찰벼 육성계통인 미르찰(밀양328호)의 이화학적, 호화, 열적 및 분자구조적 특성과 가공 적성을 기존 찰벼 품종인 동진찰, 신선찰 및 백옥찰과 비교하였다. 미르찰의 조단백질 함량은 8.4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조단백질 함량은 생 찹쌀가루 6.55-8.47%에서 수침 찹쌀가루 6.30-7.47%, 삭힌 찹쌀가루 4.64-6.40%로 수침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수분결합력과 팽윤력은 생 찹쌀가루(141.58-156.79%, 16.30-20.48 g/g)와 수침 찹쌀가루(138.37-151.59%, 19.46-22.06 g/g)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삭힌 찹쌀가루(130.12-209.00%, 48.51-55.82 g/g)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미르찰의 수분결합력과 팽윤력은 각각 209.00%와 55.82 g/g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미르찰의 평균 입자크기 및 중앙값은 삭힌 찹쌀가루가 50.54 ㎛와 22.72 ㎛로 생 찹쌀가루(68.86 ㎛, 70.66 ㎛)와 수침 찹쌀가루(71.05 ㎛, 66.35 ㎛)보다 크기가 감소하였다. x-선 회절도에 따른 찹쌀가루 결정형은 모두 A형을 나타냈으며, 수침 기간에 따른 변화는 없었다. 호화개시온도(T<SUB>o</SUB>)는 수침 기간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미르찰은 생 찹쌀가루일 때 59.87℃에서 수침하였을때 58.70℃, 삭혔을 때 57.15℃로 낮은 온도를 나타냈다. 호화특성 중 강하점도는 미르찰이 생 찹쌀가루(1,386.67 cP)와 수침 찹쌀가루(1,416.00 cP)일 때 높게 나타났으며, 삭혔을 때는 신선찰(1,583.33 cP)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아밀로펙틴 분지사슬 분포의 A chain 비율은 백옥찰(30.82%), 미르찰(29.59%), 동진찰(28.74%), 신선찰(27.10%) 순으로 나타났으며, B1 chain 비율은 동진찰(47.85%), 미르찰(47.17%), 백옥찰(45.83%), 신선찰(44.47%) 순으로 나타났다(p<0.05). 따라서 미르찰은 팽화율이 높고 물리화학적 특성이 우수하여 유과 제조 및 가공용 소재로 우수할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재료 및 방법
3. 결과 및 고찰
4. 요약
References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2-059-001084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