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권순은 (영남대학교) 안순영 (영남대학교) 박영식 (강원도농업기술원) 최성진 (대구가톨릭대학교) 윤해근 (영남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원예학회HST 원예과학기술지 원예과학기술지 제37권 제2호
발행연도
2019.4
수록면
264 - 278 (15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국내 자생 머루(Vitis spp.)의 스틸벤 화합물 함량,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능 측정 등의 분석을 수행하였다. 포도에 존재하는 여러 종류의 스틸벤 화합물 함량을 비교 분석한 결과, 머루(V. coignetiae) 계통 ‘Vc-3-09-05’, ‘Vc-1-09-22’와 새머루(V. flexsuosa) 계통인 ‘Vf-1’, ‘Vf-2’, 왕머루(V. amurensis) 계통인 ‘Va-1’에서 스틸벤 화합물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Trans-resveratrol 함량도 비슷한 경향이었으나 ‘Va-1’에서는 유럽 양조용인 ‘Cabernet Sauvignon’과‘Pinot Noir’와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Campbell Early’와 ‘Kyoho’보다는 더 높은 함량을 보였다.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는 ‘Vf-GS’, ‘Va-CS’, ‘Vc-3-09-05’에서 높은 함량으로 검출되었다. Trans-resveratrol의 함량이 높았던 ‘Vc-3-09-05’는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도 높게 나타났다. ABTS radical, DPPH radical 소거능 등과 같은 항산화능은 ‘Vc-1-09-22’, ‘Va-1’ 등의 계통에서 높았다. 기능성 포도 품종 육성 프로그램에 이용할 수 있는 국내 자생 머루를 선발하기 위하여 trans-resveratrol,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활성 등의 특성을 항목별로 수량화하여 다변량 해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자생머루 계통인 ‘Vc-1-09-22’, ‘Vc-3-09-05’, ‘Vf-2’, ‘Va-1’ 등은 국내에서 재배되는 포도 품종뿐만 아니라 주요 양조용 포도 품종에 비해서도 높은 함량의 생리활성 물질과 및 양호한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선발된 머루 계통은 기능성 신품종 육종프로그램에 유용한 육종 소재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목차

Abstract
서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초록
Literature Cited

참고문헌 (67)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151-24-02-090554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