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박재명 (한남대학교, 한남대학교 대학원)

지도교수
박진숙
발행연도
2020
저작권
한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5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에서는 해양 세균 Zooshikella sp. CP7-1의 최적 생장, 색소생성조건 그리고 추출된 천연색소의 빛, 온도, pH, 금속이온에 대한 안정성 및 항균활성을 평가하였다. 연구에 이용된 균주의 색소는 빨간색으로 최대 흡수 파장은 541 ㎚로 확인되었다. 색소는 Acetone에서 가장 높은 추출효율을 보였으나 독성이 적은 Ethyl alcohol에서 역시 그와 비슷한 효율을 나타내었다. 생장 및 색소생성 조건은 130 rpm에서 진탕 배양하였으며 12시간 단위로 생장의 경우 660 ㎚, 색소생성의 경우 541 ㎚ 파장에서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온도, NaCl, pH의 경우 30℃, pH 8, 2% 농도에서 최적 생장하였다. 질소원과 탄소원의 경우 Sorbitol과 Peptone을 이용하였을 때 가장 잘 생장하였다. 색소의 안정성은 15일간 보존하면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잔존율을 조사하여 평가하였다. 본 세균의 색소는 조사 15일 후, 어두운 곳에서 98%의 잔존율을 보였으며, ?20∼30℃에서 91% 이상 잔존하였다. pH 4-7일 때 80% 정도의 높은 잔존율을 나타내었고, CuCl2, ZnCl2와 KCl을 제외한 조사한 모든 종류의 금속이온에 대하여 85% 이상의 잔존율을 나타내었다. 항균활성의 경우 그람양성균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세균 색소는 조사된 pH, 온도, 금속이온 조건에서 높은 안정성을 나타내었고 그람양성균에 대한 활성을 지녔으며, 이러한 결과는 보존성이 높은 미생물 색소를 식품산업에 응용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목차

Ⅰ. 서론 1
Ⅱ. 재료 및 방법 3
1. 재료 3
1-1. 사용균주 및 배양 조건 3
1-2. 사용배지 4
2. 방법 6
2-1. 사용균주의 분류학적 특성 6
2-1-1. 세균의 분리 6
2-1-2. 생리?생화학적 특성조사 6
2-1-3. 16S rRNA 염기서열 증폭 및 분석 7
2-1-4. 계통수 작성8
2-2. 색소의 추출 및 특성 8
2-3. 색소의 생성 최적 조건 8
2-3-1. 온도, NaCl, pH 8
2-3-2. 탄소원과 질소원 9
2-4. 색소의 안정성 9
2-4-1. 빛의 영향 9
2-4-2. 온도의 영향 10
2-4-3. pH의 영향 10
2-4-4. 금속이온의 영향 10
2-5. 색소의 항균활성 10
Ⅲ. 결과 12
1. 분리 균주의 생리생화학적 특징과 동정 12
2. 색소의 추출 및 특성 16
3. 균주의 최적생장과 색소의 최대 생성 조건 18
3-1. 온도, NaCl, pH 18
3-1-1. 온도의 영향 18
3-1-2. NaCl의 영향 19
3-1-3. pH의 영향 20
3-2. 탄소원과 질소원의 영향 22
3-2-1. 탄소원의 영향 22
3-2-1. 질소원의 영향 23
3-3. 색소의 안정성 평가 24
3-3-1. 빛의 영향 24
3-3-2. 온도의 영향 25
3-3-3. pH의 영향 26
3-3-4. 금속이온의 영향 27
3-4. 미생물 색소의 항균활성 28
Ⅳ. 고찰 30
Ⅴ. 참고문헌 35
Ⅵ. 적요 39
Ⅶ. Abstract 40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