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이철우 (충남대학교) 이한현 (축산물품질평가원) 백준오 (축산물품질평가원) 박준규 (축산물품질평가원) 정사무엘 (충남대학교) 조철훈 (서울대학교)
저널정보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農業科學硏究 第42卷 第1號
발행연도
2015.3
수록면
47 - 51 (5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ake certain that the intramuscular fat score at 13th rib could represent the fat content of whole loin from Hanwoo in Korea beef grading system. A total 42 loins from 23 carcasses of grade 1<SUP>++</SUP>, 16 carcasses of grade 1<SUP>+</SUP>, and 3 carcasses of grade 1 of Hanwoo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crude fat content and intramuscular fat score at the 1<SUP>st</SUP>, 6<SUP>th</SUP>, and 13<SUP>th</SUP> rib, and the last lumbar position of loin were measured. The crude fat content was the highest at the 6<SUP>th</SUP> rib of loin from the carcasses of grade 1<SUP>++</SUP> and 1<SUP>+</SUP> (p<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intramuscular fat scores measured by image analysis and beef marbling score (BMS) between the 6th and 13<SUP>th</SUP> rib of loin from the carcasses of 1<SUP>++</SUP> and 1<SUP>+</SUP> and tha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tramuscular fat scores at the 1<SUP>st</SUP> rib and the last lumbar position of the loin. From the results, we conclude that the intramuscular fat score at the 13<SUP>th</SUP> rib can represent the fat content of loin when meat graders decide the grade of Hanwoo carcas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재료 및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참고문헌

참고문헌 (18)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6-480-00142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