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간동맥화학색전술시 CBCT의 활용을 위해 CBCT의 각 mode (LD, fast HD, very fast LD)와 MDCT와의 화질 평가와 피폭선량을 평가함으로서 시술시 색전 유무와 정도 및 시술의 성과를 평가 하는데 있어서 CBCT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CBCT와 MDCT의 선량을 측정하기위해 RANDO Phantom에 유리선량계를 부착시켜 선량을 측정하였으며, CBCT의 저선량 mode (LD, very fast LD)와 고선량 mode (fast HD)로 각각 측정하였다. MDCT에서도 같은 방법으로 검사를 진행하여 영상을 얻었다. 화질평가를 위해서 CT의 정도 관리시 사용하는 AAPM Phantom을 이용하여 화질을 평가하였으며, 간동맥화학색전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CBCT의 mode를 fast HD mode와 very fast LD mode로 검사하여 간세포암에 리피오돌이 집적되는 image를 획득하여 이를 POST MDCT와 각각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유리선량계를 이용하여 CBCT와 MDCT의 선량 측정 결과 MDCT, CBCT의 fast HD mode, fast LD mode, very fast LD의 순으로 선량수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AAPM Phantom을 이용하여 평가한 CBCT의 항목 중, 노이즈와 균일도, 절편 두께는 영상검사 기준에 적합하였지만, 물의 CT감약계수, 공간분해능, 대조도 분해능, 인공물 유무 평가에서는 합격기준에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나 MDCT의 경우 모든 부분에서 합격기준을 만족하였다. 리피오돌의 집적 정도를 평가하는 부분에서, MDCT와 CBCT를 비교해 볼 때 종양내에 리피오돌이 집적되어 간세포암과 간실질이 확연히 구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진단 기치가 있고 양질의 CBCT영상을 얻기 위한 임상 영상의 평가 및 적절한 성능관리용 phantom이 필요하고, 이를 이용하여 MDCT와 같이 정기적인 Calibration이 필요하다 생각된다. 또한 이에 상응하는 여러가지 mode의 소프트웨어가 개발되어 각 시술에 부합하는 CBCT mode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방사선 피폭의 감소, 그리고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앞으로도 많은 발전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