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준현 (서울아산병원) 김진수 (서울아산병원) 김영은 (서울아산병원) 장인화 (서울아산병원)
저널정보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지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지 제17권 제1호
발행연도
2014.5
수록면
137 - 144 (8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목적: 본 연구는 간동맥화학색전술 (Transcatheter Arterial Chemo Embolization) 시술 시 혈관조영장치의 pulse rate변화에 따른 시술자의 방사선 피폭선량 비교와 검사실의 공간산란선량분포 분석을 통하여 시술자의 방사선 피폭선량 경감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3년 10월 1일 부터 12월 31일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시행한 간동맥화학색 전술 (TACE) 97건 (남자 76명, 여자 2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나이는 남자가 58.89±9.89세, 여자가 59.95±12.89세이다.
1) Pulse rate변화에 따른 시술자의 피폭선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두 개의 그룹 (7.5 pulse/s, 15 pulse/s)으로 나누어 시술 전 두 명의 시술자에게 유리선량계를 Eyeball, Thyroid, Chest, Gonad, Right hand, Left hand에 부착하여 측정된 선량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2) X-ray Tube의 중심 축으로부터 50, 70, 100, 150cm반경의 원둘레에서 30° 간격으로0°~±150° 까지 총 11개의 방향을 선택하여 유리선량계를 지면으로부터 150cm의 높이에 위치시킨 후 검사실의 공간산란선량을 측정하였다. Table위에 인체팬텀 (rando phantom)을 눕혀 놓고 간동맥화학색전술 (TACE) 97건의 평균 fluoro time인 13분간 투시를 하고, VFR (Variable Frame Rate)의 조건을 적용한 DSA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를 1회 (phase 1:1 frame/s, 4 sec, phase 2:0.5 frame/s, 26 sec), Frame rate가 고정된 DSA를 2회 (1 frame/s, 10sec) 반복하였다.
결과: 1) 간동맥화학색전술 (TACE) 시술 시 pulse rate의 변화 (7.5 pulse/s:15 pulse/s)에 따른 시술자의 피폭선량은 Eyeball (22.587 Gy:41.191 Gy), Thyroid (4.892 Gy:3.659 Gy), Chest (3.686 Gy:2.648 Gy), Gonad (2.950 Gy:2.042 Gy), Rt, Hand (28.117 Gy:38.404 Gy), Lt. Hand (132.156 Gy:178.829 Gy)로 나타났다.
2) 공간산란선량분포는 모든 방향에서 X-ray Tube의 중심 축으로부터 50cm에서의 선량이 150cm의 선량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같은 거리에서 각도에 따른 선량은 150cm에서의 90° 선량을 제외하고 +방향 -방향 모두 90°에서 선량이 높았다.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0°~±30° 방향이 ±60°~±150° 방향보다 낮은 공간산란선량 분포를 나타내었다.
결론: 본 실험은 간동맥화학색전술 (TACE) 시술 시 시술자가 받는 피폭선량을 알아본 것으로서 7.5 pulse/s가 15 pulse/s보다 시술자의 전체적인 피폭선량이 낮으므로 7.5 pulse/s의 사용이 권장된다. 또한 시술 시 시술자의 위치가 공간산란선량분포가 높은 곳에 있으므로 시술자가 피폭선량 경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선량저감화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초록
서론
대상 및 방법
결과
고찰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