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상헌 (삼성서울병원) 고인범 (삼성서울병원) 조원홍 (삼성서울병원) 안미섭 (삼성서울병원)
저널정보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지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지 제19권 제1호(통권 제32호)
발행연도
2016.5
수록면
240 - 249 (10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목적: 장비에서 저선량으로 효과를 낼 수 있는 기능 Digital Subtraction Fluoroscopy Save(DSFS), Smart mask, Low dose mode를 활용하여 시행한 시술시 발생되는 선량과 기존 사용되는 기능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DSA, hand injection), Trace Subtract Fluoroscopy(TSF or Roadmap), Normal dose mode로 시행한 시술시 발생되는 선량을 환자의 두께와 FD크기의 변화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여 환자와 시술자에게 주는 선량 감소효과를 연구해 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복부혈관계 중재시술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능들을 분석하여 기준을 DSA(hand injection) 1회, Roadmap 1회, Normal dose mode로 선정하고 저선량으로 효과를 주는 기능은 비교대상으로 DSFS 1회, Smart mask 1회, Low dose mode를 적용하여 실험하였다. FD크기의 변화는 48,22cm으로 설정하고 자체 제작한 모형 혈관 위에 팬텀을 얹혀 놓고 팬텀복부 안쪽(심부선량), 위쪽(투과선량), 시술자 위치(간접선량)에 유리선량계를 부착하고 DSA(Hand injection, 1 frame/sec)와 DSFS를 총 20ml의 조영제가 1ml/sec로 주입되는 상태로 측정하였다. Roadmap은 2초간 측정하였으며 Smart mask는 선량값을 0으로 설정하였고 Normal dose mode와 Low dose mode의 Fluoroscopy는 조영제가 채워진 상태로 5분간 측정하였다. 체형별 감소율 비교를 위해0.5cm, 1.5cm의 보루스를 팬텀 앞면에 부착하여 두께 변화를 주었고 모든 실험은 같은 조건에서 5회씩 측정하였다.
결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능 대비 저선량 기능을 사용하였을 경우 FD크기 및 팬텀 두께별 총 평균값은 심부선량 24664.33uGy에서 10327.50uGy으로 58.13% 감소, 투과선량 3701uGy에서 1543.83uGy으로 58.29% 감소, 간접선량 456.66uGy에서 155.50uGy으로 65.95% 감소효과가 발생하였다. FD크기가 42cm에서 22cm으로 변경하였을 경우 기능 및 팬텀 두께별 총 평균값은 심부선량 12650uGy에서 22341.83uGy 으로 43.38%증가, 투과선량 2067.16uGy에서 3177.66uGy으로 34.95%증가, 주변선량 432.5uGy에서 179.66uGy으로 58.46% 감소되었다
결론: 저선량 기능들을 이용하여 시술 할 경우 기존 방법으로 시술할 때보다 환자 및 시술자는 절반이상의 선량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특히, DSA((Hand injection)보다 DSFS를 사용할 경우 80%정도의 선량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기존 사용하지 않았던 유용한 기능들을 적절히 활용한다면 환자와 시술자 모두에게 선량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FD의 크기는 축소될수록 시술자의 피폭은 줄어들지만 부분적으로 환자가 받는 선량은 늘어남으로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목차

초록
서론
대상 및 방법
결과
고찰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7-512-0013183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