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명식 (조선대학교)
저널정보
미국헌법학회 미국헌법연구 美國憲法硏究 第28卷 第2號
발행연도
2017.8
수록면
1 - 27 (27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주지하다시피, 미국의 법제도가 미군정기 등을 거치면서 우리나라에 많은 영향을 미쳐왔으며, 특히 미국헌법은 매우 광범위한 영역에서 우리 헌법에 영향을 주었는바, 그 대표적인 것이 세계 최초로 고안하여 운영해온 대통령제 정부형태를 중심으로 한 통치시스템에 관한 논의였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미국헌법상 통치구조가 한국헌법에 미친 영향에 대해 선거구획정과 평등선거원칙, 미연방대통령의 입법권고권, 대통령 선출방식 및 임기, 대통령 권한대행제도 등을 중심으로 관련 쟁점들을 검토해 보았다.
먼저, 국회의원선거구 획정기준과 관련하여 매우 엄격한 평등선거원칙을 강조하였던 미국법원의 태도가 우리 헌법재판소에 많은 영향을 미쳤음을 2:1로 엄격하게 변화된 인구편차 허용기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
다음으로, 우리나라의 제왕적 대통령제에 대한 개선논의의 하나로 법률안제출권이 없는 미국식의 순수 대통령제 도입을 검토하게 될 경우 국가의 중요정책을 결정하는 과정에 어떠한 형태로든 대통령이 참여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는 관점에서 보면 입법권고권의 의미는 그만큼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그 다음으로, 대통령 선출방식 및 임기와 관련하여 미국식의 4년 중임제 도입이 논의될 수 있을 것이나, 중임제가 갖는 장단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해서는 보다 폭넓은 국민적 합의를 도출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대통령 권한대행제도와 관련하여서는 「대통령 권한대행에 관한 법률(안)」의 주요내용과 그 한계점에 대한 논의가 보다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연구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
Ⅱ. 미국헌법상 통치구조
Ⅲ. 한국헌법에 미친 영향
Ⅳ. 결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20)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과 연관된 판례 (3)

  • 헌법재판소 2001. 10. 25. 선고 2000헌마92·240(병합) 전원재판부

    가.선거구획정에 관하여 국회의 광범한 재량이 인정되지만 그 재량에는 평등선거의 실현이라는 헌법적 요청에 의하여 일정한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는바, 첫째로, 선거구획정에 있어서 인구비례원칙에 의한 투표가치의 평등은 헌법적 요청으로서 다른 요소에 비하여 기본적이고 일차적인 기준이기 때문에, 합리적 이유없이 투표가치의 평등을 침해하는 선거구획정은

    자세히 보기
  • 헌법재판소 2014. 10. 30. 선고 2012헌마190,192,211,262,325,2013헌마781,2014헌마53(병합) 전원재판부

    가. 이 사건 분할금지조항은 국회가 국회의원지역선거구를 획정할 때 행정구역 단위 중 자치구를 분할하여 다른 선거구로 편입하는 것만을 명시적으로 금지함으로써, 행정구의 분구 및 통합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는 것으로, 법률 조항 자체만으로는 어떠한 행정구가 분할되어 다른 선거구로 편입될 것인지를 전혀 예측할 수 없고, 국회가 이 사건 분할금지조항에 근거하여

    자세히 보기
  • 헌법재판소 1995. 12. 27. 선고 95헌마224·239·285·373 全員裁判部

    1. 가. 평등선거(平等選擧)의 원칙(原則)은 평등의 원칙이 선거제도에 적용된 것으로서 투표의 수적(數的) 평등, 즉 복수투표제 등을 부인하고 모든 선거인에게 1인 1표(one man, one vote)를 인정함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투표의 성과가치(成果價値)의 평등, 즉 1표의 투표가치가 대표자 선정이라는 선거의 결과에 대하여 기여한

    자세히 보기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