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연령, 세대, 기간효과와 한국정치의 세대구분
Ⅲ. 이론 : 세대 내 균열의 가능성
Ⅳ. 데이터와 기술 분석 : 세대 내 이질성
Ⅴ. 통계 분석
Ⅵ.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86세대, 균열인가? 허상(虛像)인가? : 86세대의 정치적 태도 변화에 대한 경험적 분석
평화연구
2019 .04
세대별로 투표하는 정당이나 후보는 달라지는가?
한국사회
2019 .01
세대 차는 사라지지 않는다
한국사회학회 심포지움 논문집
2020 .10
다음세대
농촌사회
2020 .10
α세대 그들은 누구인가?
ANDA
2022 .11
세대를 넘어서
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24 .06
‘낀 세대’ X세대의 무거운 짐 어떻게 나눌까?
브라보 마이 라이프
2024 .05
공직 내 밀레니얼 세대(M세대)와 Z세대는 같은 세대인가, 다른 세대인가?
한국공공관리학보
2022 .12
집단정체성으로서의 세대와 그 정치적 효과
한국정당학회보
2018 .06
86세대와 세대단위로서의 학생운동가 집단: 민주화 30년과 세대효과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2017 .01
86세대의 집단 간 사회적 자본과 정치적 정체성 비교: 학생운동 활동가를 중심으로
기억과 전망
2017 .01
세대에 따른 통일과 대북인식 차이 분석: 코호트 분석을 중심으로
글로벌정치연구
2016 .01
한반도 주변국에 대한 세대별 인식 차이 분석: 남남갈등과 세대갈등의 중첩 가능성 연구
지역과 세계
2019 .01
세대연구의 경향과 쟁점
미래정치연구
2015 .02
세대와 생애주기에 따른 이념 변화 : 세계가치관조사 한국자료 분석(1990-2010)
한국정치학회보
2017 .03
교직사회에서의 세대 차이 및 갈등 인식: 초등교사의 세대 간 상호지각 및 상호평가를 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2022 .05
학문의 ‘후속’세대와 ‘현재’세대
대학: 담론과 쟁점
2019 .09
The Relationship of Low- and High-income Cohorts on Consumption Through Age-Period-Cohort Analysis
한국사회학회 심포지움 논문집
2018 .05
복지태도에 있어서의 세대효과
한국정당학회보
2017 .11
2020 토지에 관한 국민의식조사
국토정책 Brief
2021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