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 초록
Ⅰ. 문제의 제기
Ⅱ. 선거제도와 정당체제의 영향
Ⅲ. 혼합선거제도의 도입 및 운용
Ⅳ. 선거 결과와 정당체제에 대한 영향
Ⅴ. 결론
참고문헌
〈부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혼합식 선거제도로의 변화와 정치적 효과 : 뉴질랜드, 일본, 그리고 한국을 중심으로
시민사회와 NGO
2007 .01
선거제도 변화의 전략적 의도와 결과 : 역대 국회의원선거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2002 .05
혼합선거제도, 지역경제, 그리고 지역선거정당
평화연구
2012 .10
민선자치 10년의 지방선거 : 평가와 전망
한국정당학회보
2005 .08
선거와 정치변동
한국정당학회보
2009 .02
혼합형 선거제도의 정치적 효과
한국정치학회보
2006 .12
선거제도 및 정당개혁을 통한 정책선거 실현 방안
사회과학연구
2008 .04
한국의 선거주기와 대통령 소속정당의 선거이득
한국정당학회보
2008 .08
캄보디아의 선거제도와 정당체계의 상호관계
한국정치학회보
2009 .03
한국 국회의원 선거제도 개혁의 조건과 과제: 뉴질랜드 및 영국 사례와 비교적 관점에서
비교민주주의연구
2013 .01
지역주의 극복과 정치 통합을 위한 선거제도 개혁의 방안
입법과 정책
2009 .01
선거제도의 정치적 효과 : 제6대~제17대 국회의원 선거를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보
2005 .08
선거제도가 정당체제에 미치는 효과 연구 : 프랑스와 이탈리아의 동일한 선거제도 개혁의 상이한 결과
사회과학연구논총
2003 .12
한국 지방선거에서의 공정선거 확보방안
유럽헌법연구
2010 .01
2005년 일본 총선거와 정당체계의 변화
한국정당학회보
2006 .02
선거의 완전성
홍익법학
2014 .01
여성의 정치대표성과 정당요인 : 미국과 호주의 경우
국제정치논총
2002 .10
The New Mixed Electoral System in Korea : Ticket Splitting, Party Arrangement and Voting Turnout
한국정치학회보
2005 .12
시뮬레이션(Simulation)분석을 통한 한국의 선거제도 개선방안
한국정치학회보
2000 .02
지방선거의 정당공천제와 중앙정치의 영향 : 2010년 지방선거의 특징과 변화
21세기정치학회보
2010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