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준현 (서울아산병원) 김수환 (서울아산병원) 김진수 (서울아산병원) 박지홍 (서울아산병원) 김태일 (서울아산병원)
저널정보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지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지 제20권 제1호(통권 제33호)
발행연도
2017.5
수록면
83 - 90 (8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목적 : 누낭조영(Dacryocysotography; DCG) 시 진단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수정체에 불필요한 방사선 조사를 막을 수 있도록 “안구 차폐기구”를 자체 제작하여 유용성을 평가해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혈관조영장비(SIEMENS Artis zee Multi-Purpose)에 유리선량계를 삽입 및 부착 한 Rando phantom을 DCG 검사 시 환자의 자세와 동일하게 위치 시키고 AP상태에서 안구차폐기구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 2㎜Pb 과 8㎜Pb 안구차폐기구를 적용한 3가지 경우로 나누어 각각 초당 1frame(1frame/sec)으로 20초간 조사(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DSA)하였다. table과 detector의 위치는 SDD: 100㎝, STD: 60㎝, TDD: 40㎝이며, 확대율은 22㎝을 적용하였다. Rando phantom의 좌 · 우 코곁굴(Paranasal Sinus), 앞 · 뒤 뇌(Brain)에 해당하는 곳에 유리선량계 삽입 후 흡수선량을 측정하고, Rando phantom의 미간(Glabella), 좌 · 우 눈의 안쪽(medial) · 아래쪽(inferior) · 바깥쪽(lateral) · 위쪽(superior) 총 9부위 표면에 유리선량계를 부착하여 입사표면선량을 측정하였다. 측정치는 SPSS ANOVA 분석을 이용하여 측정치 차이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 좌 · 우 코곁굴의 흡수선량은 비슷한 수준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으며(p>0.05), 앞 뇌의 흡수선량은 안구차폐기구 2㎜Pb에서 25.3%, 8㎜Pb에서 56.4%, 뒤 뇌의 흡수선량은 안구차폐기구 납당량 2㎜Pb에서 60%, 8㎜Pb에서 79%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미간의 입사표면선량은 안면차폐기구의 디자인 상 8㎜Pb 안구차폐기구에서만 69.3% 감소하였다. 좌 · 우 눈의 안쪽 · 아래쪽 · 바깥쪽 · 위쪽의 입사 표면선량은 안구차폐기구로 가려진 바깥쪽・위쪽에서 2㎜Pb 안구차폐기구에서 오른쪽 바깥쪽 58.7%, 오른쪽 위쪽 34%, 왼쪽 바깥쪽 47.6%, 왼쪽 위쪽 40%, 8㎜Pb 안구차폐기구에서 오른쪽 바깥쪽 70%, 오른쪽 위쪽 68.4%, 왼쪽 바깥쪽 63.4%, 왼쪽 위쪽 70%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결론 : DCG 검사 시 본원에서 개발한 안구차폐기구의 적용으로 인해 수정체의 방사선 피폭선량이 현저히 감소되는 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피폭에 민감한 수정체 차폐 시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초록
서론
대상 및 방법
결과
고찰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512-000816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