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성호진 (전남대학교병원) 박혁 (전남대학교병원) 김종덕 (전남대학교병원) 위성문 (전남대학교병원) 류영환 (동강대학교)
저널정보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지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지 제26권 제1호(통권 제39호)
발행연도
2023.4
수록면
70 - 82 (13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목적:
본 연구는 Bi-plane tube의 다중 방향성 각도 변화에 따라 선량 평가를 통해 시술자 및 환자의 피폭 선량 저감화를 시행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뇌혈관 조영 촬영 장비는 38 x 30 ㎝의 디지털 평판형 검출기(Digital Flat panel Detector)의 Biplane Allura Xper FD 20/20 (Philips, Eindhoven, Netherlands)을 사용하여 다중 방향성 각도 변화에 따라 선량을 측정하였다. Rando Man Phantom, G-M tube형 계수관으로 Air kerma, DAP, 피폭누적선량, 방사 선량률 값을 측정하였다. 통계학적 방법은 SPSS Version 25.0 (IBM Corp., Armonk, NY) 을 사용하였으며, 일원배치분산분석 one-way ANOVA를 하였다(P<0.005). 또한 ANOVA분석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파악되는 경우, 사후검정방법으로서 Scheffe의 사후 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다중 방향성으로 인한 Air kema 및 DAP의 평균은 A-Plane은 65.58±6.29 m㏉, B-Plane은 평균 28.45±2.97 m㏉, Air kema는 15.74±0.85 mGy·〖㎝〗^2 이다. Bi-Plane의 방향성을 0°, 10°, 20° 차이로 인한 선량 차이는 없었다(P<0.001). 팬텀 위에서 측정한 공간 선량률, 누적 선량은 평균 310.74±17.44 mSv⁄h, 1.24±0.06 mSv이다. 차폐체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공간 선량률, 누적 선량은 평균 5.29±0.20 mSv⁄h, 8.56±0.61 uSv이다. 차폐체를 사용하는 경우 공간 선량률, 누적 선량은 평균 0.79±0.09mSv⁄h, 1.32±0.21 uSv이다(P<0.001).
결론:
본 연구에서는 Bi-plane tube시 다중 방향성으로 인한 피폭 선량의 입사 표면 선량 차이를 알 수 가 있었고, 튜브의 방향성으로 인한 차이보다 차폐체 사용 유무에 따른 선량 차이를 보여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피폭 선량에 관해서는 튜브 각도 보다 차폐체 사용과 두께 차이로 인하여 선량 경감화에 이바지 하게 된다.

목차

Ⅰ. 서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Ⅵ. References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