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표지]
[요약]
[Ⅰ. 서울시 생활권계획의 이해]
생활권계획은 전국 최초로 수립된 상향식 중간단계 도시계획
2012년 사전 기획을 거쳐 4년간 계획 수립, 2018년 초 확정
[Ⅱ. 생활권계획의 구성과 주요 내용]
생활권계획은 권역 및 지역생활권계획으로 구분
계획 내용은 ‘이슈별 계획’과 ‘공간관리지침’으로 구성
지역생활권계획의 주요목표와 실현전략을 ‘지역발전구상도’로 표현
[Ⅲ. 생활권계획의 운영을 위한 전제조건]
생활권계획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4가지 전제조건
[Ⅳ. 생활권계획의 활용과 운영방향]
생활권계획을 적극 활용하고 모니터링하여 지속 보완
생활권계획을 도시계획위원회 심의기준으로 활용
서울시 생활권계획 운영지침 및 단계별 실행전략 마련
자치구 차원의 도시계획 역량 강화 및 활용방안 마련
생활권계획의 법·제도적 근거 강화
생활권계획 모니터링 시행으로 계획 내용의 보완·구체화
자치구의 도시계획 역할 강화와 서울시-자치구 간 역할분담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서울시 생활권계획 수립과정 모니터링의 쟁점과 개선방향
정책리포트
2016 .10
서울시 도시계획체계 운영진단과 개선방안
정책리포트
2023 .09
생활권 중심의 계획이 필요하다!
이슈&진단
2022 .12
생활권/생활권계획
국토
2022 .05
도시계획이 바뀌어야, 도시가 변화한다
이슈&진단
2017 .12
분권화시대 자치구 도시계획 운영실태와 역할 강화 방향
정책리포트
2021 .11
서울시 도시계획체계의 진단 및 계획별 개선과제 분석 : 전문가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주택도시연구
2024 .04
국토계획평가 사례로 살펴 본 도시·군기본계획 수립방식 개선방안
국토정책 Brief
2016 .02
계획타당성평가
국토
2016 .03
“새로운 국토종합계획은 국민이 함께하는 계획이 되어야 합니다”
국토
2018 .01
국토정책 Brief 제988호 인구감소 시대에 대응하는 도시기본계획 제도 개편방향: 종합계획에서 전략계획으로
국토정책 Brief
2024 .11
저성장시대에 대응한 도시·군기본계획 수립방향 : 국토계획평가제도를 통해 본 시사점
국토정책 Brief
2018 .06
지방자치단체의 공간계획 자치권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017 .12
계획도시의 과거와 미래, 노후계획도시가 나아가야 할 길
국토
2024 .10
서울시 여건변화에 대응하는 도시계획시설의 정책과제
정책리포트
2019 .10
충북지역 도시·군 기본 계획 계획인구의 특성 분석
연구보고서
2018 .12
노후계획도시정비기본계획 수립방향과 경기도의 역할
국토
2024 .10
지구단위계획요소의 중요도 분석에 관한 연구: 회기 지구단위계획구역을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2019 .06
지자체 국토계획 및 환경계획 통합관리 현황과 개선방안
환경정책
2024 .09
도시계획수립 과정에서 도시계획가의 역할에 대한 고찰: 서울시 해방촌 도시재생활성화계획 수립과정을 중심으로
서울도시연구
2019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