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준현 (서울아산병원) 김진수 (서울아산병원) 김태일 (서울아산병원) 김영은 (서울아산병원) 김찬민 (서울아산병원)
저널정보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지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지 제18권 제1호
발행연도
2015.5
수록면
69 - 76 (8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목적 : 본 연구는 컴퓨터단층촬영 (CT)과 간동맥화학색전술 (TACE)을 병행으로 시행 받은 환자들의 연간 누적 방사선 피폭량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13년 1월부터 3월까지 본원에서 TACE를 시행 받은 47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2013년 1월부터 12월까지 시행 받은 TACE와 CT의 연간 평균 시행 횟수를 구하여 TACE를 시행 받은 환자의 평균 연간 누적 방사선 피폭량을 알아보았다.
1) Rando phantom의 유방 (Breast), 장 (Colon), 폐 (Lung), 생식선 (Gonads), 방광 (Bladder), 식도 (Esophagus), 간 (Liver), 갑상선 (Thyroid), 뇌 (Brain), 피부 (Skin), 비장 (Spleen), 신장 (Kidney), 전립선 (Prostate)의 위치에 유리선량계를 놓고 장기 별 피폭선량을 측정하고, 조직가중치 (tissue-weighting factor, WT)를 적용하여 유효선량 (effective dose; ED)으로 전환하였다. 본원의 평균 TACE조건으로 13분간 투시를 하고, VFR (Variable Frame Rate)의 조건을 적용한 DSA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를 1회 (phase 1 : 1 frame/s, 4 sec, phase 2 : 0.5 frame/s, 26 sec), Frame rate가 고정된 DSA를 2회 (1 frame/s, 10sec) 반복하였다. CT는 본원 3중시기 조영증강 CT (tri-phasic dynamic CT scan)를 시행하였다.
2) 장비에서 제공되는 면적선량률 (dose area product; DAP)과 선적분선량 (dose length product; DLP)를 이용하여 DAP는 변환 인자 (간동맥화학색전술 k = 0.15mSv/Gy ㎠)를 DLP는 변환 인자 (복부 k = 0.015mSv/mGy ㎝)를 사용하여 ED를 구하였다.
결과 : 1) TACE에서 WT를 적용한 ED에서는 Kidney, Spleen, Low intestine (descending)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Skin (ear)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 연 평균 2회의 TACE을 시행한다고 하였을 때 54.209m㏜의 선량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CT검사에서 WT를 적용한 ED에서는 Spleen, Kidney, Breast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Brian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 연 평균 5회의 CT검사를 시행한다고 하였을 때 80.641m㏜의 선량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2) 1회 평균 DAP 값은 9.03±6.30mGy ㎡, 1회 평균DLP 값은 1,198.51± 345.28 mGy cm 이었으며, 연간 평균 누적 피폭방사선량은 TACE시술이 27.1±18.9mSv, CT검사가 89.9±25.9mSv이었다.
결론: 본 연구는 TACE를 본 연구는 CT와 TACE가 병행 시행된 환자의 연간 누적 방사선 피폭량을 알아본 것으로서 인터벤션 영역에서 진단참조준위 (DLP)를 확립하여 환자의 피폭선량이 불필요하게 증가되지 않도록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목차

초록
서론
대상 및 방법
결과
고찰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