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송승현 (성균관대학교)
저널정보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동아법학 東亞法學 第79號
발행연도
2018.5
수록면
27 - 65 (39page)
DOI
10.31839/DALR.2018.05.79.27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생명존중사상이라는 선언(宣言)은 우리가 익히 들어 잘 알고 있는 가르침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는 이러한 가르침을 알고만 있는 것으로 만족하며 살고 있다. 사회가 발전하면서 알고는 있지만, 이를 준수하기란 현실적으로 쉽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런지 인간은 생물을 수단 내지 객체로 취급하여 경시하는 경향이 강하다. 그러나 인간은 인간 이외의 생물보다 그 존재방식이 우월할 뿐이지 모든 생명체는 평등하고 자연의 한 구성원으로서 모두 하나이다. 그러나 인간에게는 세계-내-존재로서 그 존재방식이 우월하기에 생명존중사상의 수용․인식주체로서의 지위가 부여된다고 할 수 있다. 즉, 생명을 존중하고 지켜야할 주체로서 생명이 존재하는 이유인 동시에 목적이라고 할 수 있는 인(仁)을 지켜야할 의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인간은 나 자신뿐만 아니라 타자의 인(仁)이 훼손되지 않도록 그 의무를 다해야 한다. 그러나 모든 생명체는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부득이 타자의 생명을 취할 수밖에 없다. 이는 의(義)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생명존중사상에 반하는 것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세상만사에 절대적인 것은 존재할 수는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생명존중사상이라는 선언은 현대사회에서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생명의 정의와 목적
Ⅲ. 생명존중사상의 수용․인식주체
Ⅳ. 현대사회에서 생명존중사상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Zusammenfassung

참고문헌 (34)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과 연관된 판례 (2)

  • 헌법재판소 1996. 11. 28. 선고 95헌바1 전원재판부〔합헌 · 각하〕

    1. (가) 生命權 역시 憲法 제37조 제2항에 의한 일반적 법률유보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는 것이나, 生命權에 대한 제한은 곧 生命權의 완전한 박탈을 의미한다 할 것이므로, 死刑이 比例의 원칙에 따라서 최소한 동등한 가치가 있는 다른 생명 또는 그에 못지 아니한 公共의 利益을 보호하기 위한 불가피성이 충족되는 예외적인 경우에만 적용되는 한

    자세히 보기
  • 헌법재판소 1990. 9. 10. 선고 89헌마82 전원재판부〔합헌〕

    1. 가. 선량(善良)한 성도덕(性道德)과 일부일처주의(一夫一妻主義)·혼인제도(婚姻制度)의 유지(維持) 및 가족생활(家族生活)의 보장(保障)을 위하여서나 부부간(夫婦間)의 성적성실의무(性的誠實義務)의 수호(守護)를 위하여, 그리고 간통(姦通)으로 인하여 야기되는 사회적(社會的) 해악(害惡)의 사전예방(事前豫防)을 위하여, 간통행위(

    자세히 보기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360-0022302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