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Ⅰ. 序論
Ⅱ. 危險에 대한 疑心
Ⅲ. 危險疑心에 대한 作用
Ⅳ. 警察法上 一般授權條項 援用에 대한 批判的 檢討
Ⅴ. 危險與否의 確認과 警察責任, 損害塡補
Ⅵ. 結論
참고문헌
〈Zusammenfassung〉
대법원 2012. 12. 13. 선고 2012도11162 판결
[1] 경찰관직무집행법 제4조 제1항 제1호(이하 `이 사건 조항’이라 한다)에서 규정하는 술에 취한 상태로 인하여 자기 또는 타인의 생명·신체와 재산에 위해를 미칠 우려가 있는 피구호자에 대한 보호조치는 경찰 행정상 즉시강제에 해당하므로, 그 조치가 불가피한 최소한도 내에서만 행사되도록 발동·행사 요건을 신중하고 엄격하게 해석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 사건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3. 6. 13. 선고 2012도9937 판결
경찰관직무집행법 제6조 제1항에 따른 경찰관의 제지 조치가 적법한 직무집행으로 평가될 수 있기 위해서는, 형사처벌의 대상이 되는 행위가 눈앞에서 막 이루어지려고 하는 것이 객관적으로 인정될 수 있는 상황이고, 그 행위를 당장 제지하지 않으면 곧 인명·신체에 위해를 미치거나 재산에 중대한 손해를 끼칠 우려가 있는 상황이어서, 직접 제지하는 방법 외에는 위와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9. 3. 23. 선고 98다63445 판결
[1] 경찰관은 범인의 체포, 도주의 방지, 자기 또는 타인의 생명·신체에 대한 방호, 공무집행에 대한 항거의 억제를 위하여 무기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도 무기는 목적달성에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상당한 이유가 있을 때 그 사태를 합리적으로 판단하여 필요한 한도 내에서 사용하여야 하는바, 경찰관의 무기사용이 이러한 요건을 충족하는지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 형법학의 방법적 착안점에 대한 비판적 고찰: 개념법학적인 사유형태와 일반조항에로의 도피
형사판례연구
2019 .01
경찰법상 위험 개념의 구분과 기능 -경찰관직무집행법 제8조의2 신설을 계기로 -
法學論文集
2021 .01
코로나-19 위기에서 경찰 · 질서법상 시민의 경찰책임에 관한 연구 - 위험방지법상 전통적 경찰책임론에서 현대적 위험방지협력의무론으로 -
공법학연구
2021 .02
인공지능, 빅데이터, 그리고 경찰 : 예측적 경찰활동에 대한 공법적 검토
공법학연구
2023 .02
독일과 한국 경찰·질서법상 기본개념들의 비교법적 발전에 관한 연구 - 경찰법과 경찰개념, 공권력수권근거, 위험, 경찰책임 개념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
2021 .02
독일경찰질서법상 개괄적 수권조항 혹은 경찰일반조항의 고찰과 시사점의 도출
법학연구
2018 .02
독일 경찰법의 최근 동향 - 바이에른 경찰법상 ‘우려되는 위험’ 개념의 도입을 중심으로 -
경찰법연구
2019 .01
구(舊) 청소년성보호법 제8조 제2항 및 제4항에서 아동・청소년이용음란물의정의의 위헌 여부 - 헌법재판소 2013헌가17, 2013헌가24, 2013헌바85(병합) -
고려법학
2016 .01
원자력이용에 따른 사용후핵연료 처리에 대한 법제검토
경희법학
2017 .01
독일의 교육자치를 달성함에 있어 학교와 교사의 역할
교육법학연구
2019 .01
독일의 블록체인 정책 및 신연방전략에 관한 소고
법과 정책연구
2020 .01
기본의무의 평등 - 병역법 제3조 제1항 등 위헌확인 사건을 중심으로 -
공법학연구
2021 .02
한국 자치경찰제도의 이상적 모델
지방자치법연구
2018 .01
한국형 수사와 기소분리모델의 전망과 경찰의 과제
비교형사법연구
2017 .01
법관에 대한 ‘직무평정’과 ‘평가’ - 독일 사례의 분석과 제언 -
저스티스
2020 .08
사권(私權) 보호를 위한 경찰개입에 관한 연구 - 구체적 사례의 해결을 중심으로 -
경찰학연구
2022 .09
채권양도금지특약의 효력 제한
법과 정책연구
2020 .01
통일순응적 정당체제의 확립과 선거제도의 개혁 : 독일과의 비교법적 접근을 중심으로
중앙법학
2017 .03
우버 엑스[Uber X] 시행의 타당성
IT와 법연구
2017 .01
규제샌드박스 도입 및 실행에 대한 법적 연구 - 공무원의 역할 및 책임을 중심으로 -
법과 정책연구
2021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