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황동혁 (부산대)
저널정보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동아법학 東亞法學 第92號
발행연도
2021.8
수록면
1 - 29 (29page)
DOI
10.31839/DALR.2021.08.92.1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소선거구제 다수대표제의 큰 문제점중 하나는 승자독식의 선거결과, 지역 패권주의에 의한 지역집중투표현상이 극심하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소선거구제를 채택하는 이상 승자독식의 선거결과가 꼭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라 하더라도 과거 우리나라의 선거에서는 유권자의 의사가 왜곡되어 지나치게 대표성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뿐만 아니라 지역패권주의에 의하여 대표되지 못하는 많은 투표가 무가치로 버려지게 되고 국회의원이 국민전체의 대표자로서의 기능을 하지 못하였다. 결국 승자독식의 선거제도는 지역집중투표현상과 결합되어 선거과정에서 사표가 과다하게 발생하고 결과적으로 투표와 의석간의 비례성이 저하되어 대표성 역시 하락하는 구조적 문제를 내포한다.
2019년 12월 27일 개정된 공직선거법은 국회의원정수를 종전과 같이 300명으로 하고 지역구선거에서 253명, 비례대표선거에서 47명을 선출하되, 비례대표정수 47명 중 30명은 연동형으로 17명은 종전과 같은 병립형으로 선출하는 (준)연동형비례대표제를 도입하였다.
21대 총선은 거대정당의 지역분할구도가 사라지지 않고 그대로 나타났고 위성정당이라는 기이한 편법이 동원되어 유권자의 혼란을 가중시켰고, 소수 정당의 원내진입이 더욱 어려워졌다.
이러한 새로운 선거제도 시행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비례대표 정수를 확대하고 정강명부의 작성단위를 권역별 명부방식으로 바꿀 필요가 있다 또한 봉쇄조항을 완화하여야 하고 정당내 비례대표후보자 결정과정에서 민주적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그 절차를 엄격히 규정할 필요가 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연동형비례대표제에 관한 입법례
Ⅲ. 연동형비례대표제 도입
Ⅳ. 개선방안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참고문헌 (22)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